정부 불신 처방패턴 변경 냉소…의협 "회원 참여 필요"

9일 개원가에 따르면 상당수 개원의들이 약제비를 줄여나가야 한다는 대승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수긍하지만, 과거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미동하지 않고 있다.
최근 각 지역의사회도 약제비 절감에 대해 적극 홍보에 나섰지만 회원들의 반응은 미지근을 넘어서 썰렁하다는 게 의사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대전시의사회 한 임원은 "각 구의사회별로 회원들에게 알리고 반상회에서도 의협 지침을 공지하는 등 회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긴 하지만 100% 협조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약제비 절감 이후,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는 현지실사 및 삭감조치 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약제비 절감에 성공했을 경우, 그동안 왜 줄이지 못했느냐는 지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의사회 임원 또한 "정부에 대한 회원들의 불신은 심각한 수준으로 '수가 3% 인상이 대수냐'라는 식"이라며 "약제비절감 또한 이를 절감한다고 여기서 끝이 아니라 이를 문제삼아 삭감 등 다양한 조치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했다.
울산시의사회 임원은 "정부에 삭감할 수 있는 빌미만 제공하는 격이 될 수 있어 회원들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며 "일각에선 의협에 동조해 참여하자는 분위기도 있지만 처방을 바꾸는데는 조심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일선 개원의들은 약 처방은 의사 자율에 맡길 문제인데 정책적인 문제로 몰고 가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B내과의원 김모 개원의는 "약 처방 하나를 바꾸려면 환자 한명, 한명 붙잡고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설득해야하는데 어느 환자가 약제비 절감한다고 값싼 약을 준다는 데 좋아하겠느냐"며 "기존 처방에서 크게 바꾸지 않고 있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내과 원장은 "무조건 고가약을 처방하는 것은 문제이지만 정부가 저가약 처방만으로 몰고가는 것 또한 문제아니냐"며 "이는 결국 환자 의료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의사협회 관계자는 "일부 회원들이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삭감을 우려하는 것은 이해되지만 이는 전 회원의 참여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앞으로 더 지속적인 회원 홍보를 통해 설득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