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급이상 의료기관 대상…금액산정 착오등 220개 항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3일 종합병원 간담회를 통해 청구오류 사전점검서비스 확대 계획을 밝혔다.
청구오류 사전점검서비스는 병·의원들이 요양급여비용 청구전에 원하는 때에 수시로 심평원 청구오류 점검시스템을 이용해 스스로 청구오류를 점검해 수정·보완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심평원은 청구오류 사전점검서비스를 지난 2009년 7월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해왔는데, 오는 8월부터 병원급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확대 실시하기로 한 것.
점검 가능한 항목은 총 220개. 금액산정착오, 증빙자료미제출 등의 심사조정 14항목과 주민번호 착오 등 심사불능 69항목, 의료장비관련 137항목이 대상이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요양기관이 청구데이터를 EDI를 통해 사전점검시스템에 전송하면 심평원은 청구오류를 점검해 심평원 홈페이지를 통해 요양기관에 제공한다. 그러면 요양기관은 오류내역을 직접 수정 후 재점검 또는 실제청구하면 된다.
심평원은 청구오류 사점점검서비스 확대를 통해 의료기관들이 사전에 착오청구를 수정함으로써, 착오청구 등으로 심사조정되는 사례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