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진종 대웅제약 올메텍 PM

질환별 최대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고 있다는 것은 약효의 효능과 안전성 등에서 그만큼 신뢰를 받고 있다는 증거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말이다.
이 약은 지난 2005년 국내에 출시된 후 급속히 처방량이 늘었고, 2008년부터는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노바스크, 코자 등 계열을 막론한 쟁쟁한 고혈압약들을 모두 넘어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약의 성장 비결은 무엇일까?
처방 패턴이 CCB계열에서 ARB계열로 변화했다는 점도 한 몫했다. 당시만 해도 고혈압약 하면 CCB계열이 대세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이 약의 장점은 강력한 혈압 강압효과다.
대웅제약 올메텍 PM 모진종 차장은 "'올메텍'의 가장 큰 장점은 강력한 강압 효과"라며 "투여 2주 만에 신속한 두자릿 수 강압효과를 나타낸다. 두 자릿수 강압효과는 타 경쟁 약물과 비교에 뛰어난 점"이라고 자신했다.
그리고 증거를 내보였다. '올메텍'과 타 ARB 계열 경쟁약물을 비교한 데이터다.
데이터를 보면, '올메텍20mg'은 2주만에 SBP는 -13mmHg, DBP는 -10.7mmHg의 강압효과를 보여, '코자50mg'(SBP -8.9mmHg, DBP는 -7.6mmHg), '디오반80mg'(SBP는 -9.2mmHg, DBP는 -9.0mmHg), '아프로벨150mg'(SBP는 -10.8mmHg, DBP는 -9.0mmHg) 등과 비교했을 때 강압효과가 좋았다.
모 차장은 "혈압 강하 효과 뿐만 아니라 24시간 지속되는 강력한 강압효과, 목표혈압 도달율, 용량의존적이지 않은 이상반응 등도 타 약제에 비해 뛰어난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웅의 영업력 역시 약효 못지 않은 경쟁력이라고 말한다.
모 차장은 "이 약은 일본계 기업 다이이찌산쿄에서 들여온 도입 신약으로, 로컬은 대웅이 전담하고, 종병은 함께 마케팅을 진행 중"이라며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제품 홍보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으면 빛을 볼 수 없는 것처럼, 대웅의 뛰어난 영업력은 제품 효능과 맞불려 시너지 효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올해 목표는 1000억원 돌파다.
모 차장은 "최근 고혈압 복합제가 속속들이 등장하면서, 성장률이 주춤한 것이 사실이지만, 뛰어난 초기 혈압 강하 효과를 내세워 단일 제품 1000억원 돌파가 목표"라며 "좋은 약인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망했다.
이 약은 지난해 956억원(UBIST 기준) 어치를 처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