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완 교수팀, 체온조절장치 활용해 성공

을지대병원 흉부외과(중환자의학) 이준완 교수팀은 지난 달 아침 출근길에 협심증으로 갑자기 심장이 멈춰 쓰러져 30여분 만에 병원에 도착한 50대 남성에게 체온조절장치를 이용한 저체온요법을 시행, 부작용이나 후유증 없이 치료에 성공했다.
사람의 뇌는 심장마비 등으로 3~5분 정도 산소공급을 받지 못하면 치명적인 손상을 받게되는데, 저체온 요법이란 이 때 체온을 낮춰 뇌의 에너지 대사뿐만 아니라 세포수준에서의 2차 신호전달 체계의 활성화를 떨어뜨려 뇌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때 정확한 체온조절 및 유도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혈압저하, 감염의 증가, 출혈성 경향 등의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는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이교수팀은 정확한 체온 조절 및 유도를 위해 중부권 최초로 체온조절장치를 치료에 활용했다.
체온조절 장치는 합병증을 최소화시키는 비침습적치료로 최초 12~24시간 동안 체온을 32∼34도로 낮추고 이후 48시간 안에 서서히 정상체온인 36.5도로 올려주는 과정을 컴퓨터로 정확하게 제어한다.
이준완 교수는 “체온조절장치를 이용한 저체온요법은 급성 심정지 환자 외에도 허혈성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뇌출혈 환자의 뇌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교수는 “치료를 위해서는 응급의학과, 심장내과, 신경과, 중환자의학과 등의 유기적인 협진과 함께 의료진의 저체온과 연관된 생리적인 변화와 병의 생리학적 변화, 부작용에 대해 인지한 상태에서 중환자치료 기술이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