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상 일특위 위원장 "의견수렴 필요" 우려 표명
최근 의료일원화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의사협회 산하 의료일원화특별위원회(위원장 유용상)가 “의료계 전체 의견 수렴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한발 물러선 입장을 내놔 주목된다.

유용상 위원장
18일 일특위 유용상 위원장은 “최근 정기회의에서 의료일원화에 대해 논의한 결과 상당수 위원들이 큰 틀에서는 찬성하지만 다소 우려스럽다는 지적이 제기됐다”며 “무엇보다 의료계 전체 의견을 반영한 통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의료일원화가 맞는 길이라고 하더라도 정당성을 갖추려면 절차적으로 회원들의 지지를 받는 게 맞다”며 “회원들 중에는 의사와 한의사가 의료일원화 되는 것을 원치 않는 여론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의 주장을 바탕으로 한 의료일원화는 자칫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특히 유 위원장은 의-한방 교과 과정을 통합하는 등 학제 개편에 대해 신중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가장 우선적으로 교과 과정을 바꾸자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며 “통합 이후 면허제도는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면허 취득 절차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마친 후에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즉, 의료일원화를 추진하더라도 이 같은 부작용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 이후에 진행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이어 “의료일원화를 핑계로 기존의 한의사들이 현대의학으로 진료영역을 확장하는 등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나타날 수 있다”며 “의료일원화를 추진하더라도 이 같은 부작용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 이후에 진행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의료일원화가 맞는 길이라고 하더라도 정당성을 갖추려면 절차적으로 회원들의 지지를 받는 게 맞다”며 “회원들 중에는 의사와 한의사가 의료일원화 되는 것을 원치 않는 여론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의 주장을 바탕으로 한 의료일원화는 자칫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특히 유 위원장은 의-한방 교과 과정을 통합하는 등 학제 개편에 대해 신중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가장 우선적으로 교과 과정을 바꾸자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며 “통합 이후 면허제도는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면허 취득 절차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마친 후에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즉, 의료일원화를 추진하더라도 이 같은 부작용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 이후에 진행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이어 “의료일원화를 핑계로 기존의 한의사들이 현대의학으로 진료영역을 확장하는 등 이를 악용하는 사례가 나타날 수 있다”며 “의료일원화를 추진하더라도 이 같은 부작용 요소를 사전에 차단한 이후에 진행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