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권용진 교수 주장…"일반약 슈퍼판매 허용"

서울대 권용진 교수는 19일 열린 건보공단 '의약분업 10년 평가' 토론회에서 의약분업을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4가지 개선방안을 내놓았다.
그는 먼저 약사의 불법진료를 차단하기 위한 엄정한 법 집행을 촉구했다. 의약분업의 근본취지가 약국의 진료 금지였던 만큼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일반의약품의 슈퍼판매와 약국에서 일반의약품 진열장에 국민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는 상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반의약품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 확대는 의사들에게도 경증환자가 줄어 손해가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소비자 접근성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직능분업을 적극도입하되,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3세 미만의 소아, 70세 이상 노인, 거동이 불편한 질환 보유자라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권 교수는 마지막으로 전문가단체와 이익단체의 위상을 분리하기 위한 의원협회의 설립을 주장했다.
의사협회는 의사회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교육 관리, 윤리위원회 운용, 정책개발 등을 담당하고, 의원협회는 수가계약 및 의원의 권익신장에 나서는 구조로 구분하자는 것이다.
권 교수는 "의사협회는 전문가집단으로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보건의료분야 정책결정에 전문가적 참여를 확대함으로써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