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LA 연구팀, PLos One지에 발표
미국 연구팀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을 억제하는 물질이 쥐에서 털이 다시 자라게 했다는 연구결과를 PLos One지에 발표했다.
UCLA 대학 밀론 물루게타 연구원은 쥐의 경우 이 약물이 미녹시딜(minoxidil)보다 더 많은 털을 자라도록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생성하는 corticotrophin-releasing factor(CRF)의 생성을 높이도록 쥐를 유전자 조작했다. 그 결과 만성 스트레스로 인해 쥐의 등부분에서 탈모가 진행됐다.
이후 연구팀은 털이 빠진 쥐에 Salk 연구소에서 개발한 아스트레신-B(astressine-B)라는 물질을 투여해 위장관에서 어떻게 CRF를 저해하는지를 살폈다.
아스트레신-B는 약 5일 동안 투여됐으며 위장관 시험을 마친 후 약물을 투여한 쥐는 다른 쥐와 함께 우리에 넣었다. 이후 약물을 투여받은 쥐의 경우 약 4개월 동안 털이 자라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다른 쥐와 구별이 되지 않을 정도였다.
연구팀은 짧은 기간의 치료만으로 장기간에 걸친 모발 회복의 놀라운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한 털이 자라기만 한 것이 아니라 색깔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 스트레스가 탈모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의 경우 인간 대상 임상을 통한 효과 여부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UCLA 대학 밀론 물루게타 연구원은 쥐의 경우 이 약물이 미녹시딜(minoxidil)보다 더 많은 털을 자라도록 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생성하는 corticotrophin-releasing factor(CRF)의 생성을 높이도록 쥐를 유전자 조작했다. 그 결과 만성 스트레스로 인해 쥐의 등부분에서 탈모가 진행됐다.
이후 연구팀은 털이 빠진 쥐에 Salk 연구소에서 개발한 아스트레신-B(astressine-B)라는 물질을 투여해 위장관에서 어떻게 CRF를 저해하는지를 살폈다.
아스트레신-B는 약 5일 동안 투여됐으며 위장관 시험을 마친 후 약물을 투여한 쥐는 다른 쥐와 함께 우리에 넣었다. 이후 약물을 투여받은 쥐의 경우 약 4개월 동안 털이 자라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다른 쥐와 구별이 되지 않을 정도였다.
연구팀은 짧은 기간의 치료만으로 장기간에 걸친 모발 회복의 놀라운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또한 털이 자라기만 한 것이 아니라 색깔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 스트레스가 탈모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의 경우 인간 대상 임상을 통한 효과 여부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