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가격제, 약제비 절감·환자 선택권 강화"

발행날짜: 2011-07-22 10:05:07
  • 이의경 교수 강조…"저가약 처방 의사 인센티브도 필요"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약제비 절감 위해 참조가격제의 조속한 도입과 함께 약사의 대체조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숙명여대 이의경 교수(임상약학대학원)
22일 건강보험공단이 마련한 세미나에서 숙명여대 임상약학대학원 이의경 교수는 '적정기준가격제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발표하며 "대체 의약품들 중 값싼 약의 이용을 장려해 합리적인 선택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참조가격제란 상호 대체 가능한 의약품 그룹을 설정해 약을 환자가 직접 선택하고, 약품 그룹에 대해서는 개별 약값에 관계없이 동일한 가격으로 보험상환하는 일종의 본인부담 차등제다.

앞서 2002년부터 공청회 등을 거쳐 활발하게 논의됐으나 환자 부담이 늘어난다는 시민단체와 의료계의 반발로 시행되지 못했다.

이의경 교수는 "최근 건강 보장의 거시적 관리가 시장·시민사회·소비자 중심으로 바뀌며 소비자의 선택권도 부각됐다"며 "이런 변화에 맞춰 약제비 절감 노력에 소비자의 동참도 요구되고 있다"고 전했다.

참조가격제가 도입되면 고가약에서 저가약으로 의사의 처방행태가 개선되고, 제약회사들도 시장 점유율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조가격 근처로 가격을 인하하는 등 약제비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게 이 교수의 판단이다.

또 환자 본인부담의 증가는 의약품 사용의 감소를 유도해 약제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이 교수는 "본인부담이 큰 의약품이 처방, 조제될 경우 오히려 소비자 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몇가지 전제 조건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의사가 참조가격보다 더 저렴한 약을 처방할 때 인센티브를 주고 제네릭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생동성시험의 질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약사의 대체조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며 소비자 선택권 보장을 위한 정보 제공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토론자로 참석한 서울의대 권용진 교수 역시 "소비자의 비용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처방전에 약가 및 동일성분, 동일 효능의 최저가 약을 표시해야 한다"면서 "의사 스스로 환자에게 저렴한 제네릭을 권유할 수 있는 인센티브 방안도 필요하다"전했다.

그는 이어 "약효 동등성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사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매년 10개 품목을 무작위로 정해 재검사를 하고 재검 결과에 따라 처벌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ㅁㄴㄹ 2011.07.23 08:29:45

    이런 일이 있군요
    약사 또는 약국의 약 바꿔치기는 지난해에도 적발돼 파문을 던진 바 있다.
    복지부가 지난해 7~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저가약 조제 약국을 단속한 결과, 조사대상 기관 중 2곳을 제외한 108곳에서 이러한 형태의 불법청구가 적발됐다. 조사 대상의 98%가 불법을 자행해온 것이다. 복지부는 이들 약국에 대해 행정처분 절차를 진행 중이거나 마쳤다.

    허위 청구 사례를 살펴보면, 수원지역의 B약국은 P피부과에서 처방한 팜빅스정(단가 5734원)을 환자에게 저가약제인 팜클로정(3036원)으로 조제해주고 심평원에는 팜빅스정을 조제한 것처럼 청구해 차액 2698원을 챙겼다.

    또 D약국은 L의원에서 판토록정(단가 1432원)을 처방했으나, 환자에게 저가약제이면서 함량이 다른 판토록정20mg(951원)을 임의변경조제하고 심평원에는 판토록정을 청구해 차액 481원을 부당 편취했다. 의약품 임의변경조제의 경우, 처방의사의 사전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이 약국은 이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약을 바꿔치기했다가 적발된 것이다.

  • qkqh 2011.07.22 18:17:13

    이제 환자가 약을 선택한다고?
    참조가격제?
    의사가 진단하고 성분명 처방하면 환자가 약품가격을 고려하여 약을 선택하고
    약사는 그대로 조제해 준다고?
    참좋은 생각이네.
    음식점에서 음식메뉴 선택하듯이 말이지? ㅋㅋㅋ
    진짜 의사는 이제 필요 없대니까..
    걍, 의사는 진단만 해주자. 약선택은 환자가 하고 조제및 치료는 약사가 하게
    그냥 구경이나 하자.

  • 황당 2011.07.22 16:12:27

    너부터 싼약으로 먹어라
    C발, 너부터 싼약 먹어라. 결국 가난한 국민만 싼약 먹고, 부자는 부작용 적고 효능이 좋은 비싼약 먹는다. 그리고 개백성 근성은 남이 먹는건 아무거나, 지가 먹는건 고급이아야 한다는 인식 때문에 안된다.

  • ㅎㅎㅎ 2011.07.22 12:36:28

    그냥 분업 폐지해.
    환자와 질병 치유가 중심이 아닌 사고방식으로는
    정품대신 저가 호환품으로 대체해도 뭐가 문젠지 모르쟎어.

  • 몽타쥬가 2011.07.22 12:23:17


    개젓같군요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