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총, 서울대병원 임금동결 쓴소리 "봉직의 희생 강요말라"
서울대병원이 비상경영 일환으로 임금 동결과 성과급 수당을 삭감하자 의료계가 이는 경영 위기의 책임을 무조건 봉직의에게 돌리는 행태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병원 직원들이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제대로 노동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저수가 정책을 고집하는 정부 정책 때문인데, 이를 숨기고 봉직의나 전공의들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22일 전국의사총연합(전의총)은 성명서를 내고 "서울대병원, 경찰병원 등에서 의사의 성과급 수당을 30%나 삭감하는 등 봉직의사, 전공의들의 고통만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있다"면서 "경영상 이유로 임금 삭감을 강요하는 행태를 더 이상 주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서울대병원은 환자 수 정체와 초음파 급여화 등 병원 경영의 악재로 작용하는 제도적인 변화 등을 요구하며 비상경영의 일환으로 임금 동결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노조 역시 즉각 반발하며 "병원이 비상경영을 선포하면서 그에 따른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며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면서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찬성 94%로 파업이 결정됐다"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의총은 "최근에는 대형병원들이 생존을 위해서 의료 서비스의 질을 낮출 수밖에 없다"면서 "형편 없는 의료수가에 싸구려 진료를 강요하는 포괄수가제도가 시행되고, 고가나 최신 치료기법은 무차별 삭감하는 의료풍토 속에서 과연 어떤 병원이 생존할 수 있냐"고 비판했다.
전의총은 "병원들은 싸구려 저질 재료를 사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당당하게 환자들에게 설명하기 바란다"면서 "작년에 공중파 방송에서 공무원이 의료비 절감을 위해서 '싸구려 진료 재료 쓰는 것은 문제없다'고 말했다는 것도 국민과 언론에 적극적으로 알리라"고 주문했다.
전의총은 이어 "의료수가 인상과 관치 의료 종식, 보건노동자의 임금인상은 투쟁 없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당당하게 밝히라"면서 "기업이 위기에 처하면 임원급 월급부터 삭감하지만 국내 병의원의 의사는 기업의 임원만큼 특권층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병원 직원들이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제대로 노동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저수가 정책을 고집하는 정부 정책 때문인데, 이를 숨기고 봉직의나 전공의들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22일 전국의사총연합(전의총)은 성명서를 내고 "서울대병원, 경찰병원 등에서 의사의 성과급 수당을 30%나 삭감하는 등 봉직의사, 전공의들의 고통만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있다"면서 "경영상 이유로 임금 삭감을 강요하는 행태를 더 이상 주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서울대병원은 환자 수 정체와 초음파 급여화 등 병원 경영의 악재로 작용하는 제도적인 변화 등을 요구하며 비상경영의 일환으로 임금 동결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노조 역시 즉각 반발하며 "병원이 비상경영을 선포하면서 그에 따른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며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면서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찬성 94%로 파업이 결정됐다"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의총은 "최근에는 대형병원들이 생존을 위해서 의료 서비스의 질을 낮출 수밖에 없다"면서 "형편 없는 의료수가에 싸구려 진료를 강요하는 포괄수가제도가 시행되고, 고가나 최신 치료기법은 무차별 삭감하는 의료풍토 속에서 과연 어떤 병원이 생존할 수 있냐"고 비판했다.
전의총은 "병원들은 싸구려 저질 재료를 사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당당하게 환자들에게 설명하기 바란다"면서 "작년에 공중파 방송에서 공무원이 의료비 절감을 위해서 '싸구려 진료 재료 쓰는 것은 문제없다'고 말했다는 것도 국민과 언론에 적극적으로 알리라"고 주문했다.
전의총은 이어 "의료수가 인상과 관치 의료 종식, 보건노동자의 임금인상은 투쟁 없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당당하게 밝히라"면서 "기업이 위기에 처하면 임원급 월급부터 삭감하지만 국내 병의원의 의사는 기업의 임원만큼 특권층이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