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스마'와 '콤탄', 결핵균 보호벽 쌓는데 필요한 물질 차단해
파킨스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이 결핵균의 약물 내성을 막는다는 연구결과가 2일 PLoS Computational Biology지에 실렸다.
연구팀은 레보도파의 효과를 증강 시키는 약물인 발렌트사의 ‘타스마(Tarmar, tolcapone)'과 노바티스의 ’콤탄(Comtan, entacapone)'이 다제 내성 및 광범위 내성 결핵균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UC 샌디에고 대학의 사라 킨닝스 연구원은 컴퓨터 모델과 실험실 연구를 통해 내성이 있는 결핵균 치료에 적합한 약물을 찾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콤탄과 타스마의 활성성분이 다제 내성 결핵균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물들은 COMT라고 불리는 뇌 물질을 차단해 파킨슨 약물의 분해를 막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 약물 구조가 결핵균의 보호세포벽을 쌓는데 필요한 물질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스마는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며 콤탄이 더 안전한 결핵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레보도파의 효과를 증강 시키는 약물인 발렌트사의 ‘타스마(Tarmar, tolcapone)'과 노바티스의 ’콤탄(Comtan, entacapone)'이 다제 내성 및 광범위 내성 결핵균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UC 샌디에고 대학의 사라 킨닝스 연구원은 컴퓨터 모델과 실험실 연구를 통해 내성이 있는 결핵균 치료에 적합한 약물을 찾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콤탄과 타스마의 활성성분이 다제 내성 결핵균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물들은 COMT라고 불리는 뇌 물질을 차단해 파킨슨 약물의 분해를 막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 약물 구조가 결핵균의 보호세포벽을 쌓는데 필요한 물질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스마는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며 콤탄이 더 안전한 결핵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