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 정성기, 약물전달체 합성 성공
국내 연구진이 뇌종양, 알츠하이머와 같은 난치성 뇌질환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포항공대 정성기 교수팀은 최근 항암제를 뇌까지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정 교수팀에 따르면 이번 실험에 사용된 항암제는 파클리탁셀.
파클리탁셀은 항암 효과가 높지만 혈뇌 장벽 이라는 보호체계에 막혀 뇌까지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로 인해 대부분 종양이 발견될 경우 외과적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에 의존해 온 것이 사실.
그러나 정 교수팀이 소르비톨을 근간으로 약물 전달체를 합성, 파클리탁셀을 뇌까지 전달하는데 성공하면서 뇌질환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뇌종양을 가진 생쥐를 대상으로 이 약물을 입으로 투여한 결과 투여된 약이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해 상용화의 길을 열었다.
정 교수는 "화학요법의 불모지인 뇌종양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결과"라며 "이번 실험으로 알츠하이머, 헌팅턴 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 화학회 공식 학술지인 'MedChemComm'에 게재됐다.
포항공대 정성기 교수팀은 최근 항암제를 뇌까지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정 교수팀에 따르면 이번 실험에 사용된 항암제는 파클리탁셀.
파클리탁셀은 항암 효과가 높지만 혈뇌 장벽 이라는 보호체계에 막혀 뇌까지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로 인해 대부분 종양이 발견될 경우 외과적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에 의존해 온 것이 사실.
그러나 정 교수팀이 소르비톨을 근간으로 약물 전달체를 합성, 파클리탁셀을 뇌까지 전달하는데 성공하면서 뇌질환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뇌종양을 가진 생쥐를 대상으로 이 약물을 입으로 투여한 결과 투여된 약이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해 상용화의 길을 열었다.
정 교수는 "화학요법의 불모지인 뇌종양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결과"라며 "이번 실험으로 알츠하이머, 헌팅턴 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풀이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 화학회 공식 학술지인 'MedChemComm'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