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롱 환자, 전자 청구 방식으로 막아야"

발행날짜: 2011-06-24 09:42:10
  • 김진현 교수, 공단 세미나서 주장…"심사도 심평원에 위탁"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자동차보험의 진료비 서면 청구 방식을 전자 청구(EDI) 방식으로 바꾸고 진료비 심사도 심평원에 위탁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대 김진현 교수가 '자동차보험 진료비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24일 건강보험공단 조찬 세미나에서 서울대 간호학과 김진현 교수는 '자동차보험 진료비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그는 "현재 심사체계는 각 보험사가 심사하고 있어 소비자-요양기관간 분쟁이 많고 기왕증의 확인도 어렵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환자의 입원율이 일본에 비해 8.5배 높을 정도로 환자와 요양기관의 과잉진료가 일상화 돼 있지만 이를 제지할 수단이 부재하다는 것.

김 교수는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심평원에 진료비 심사 위탁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의료정보망 구축 ▲진료비 허위•부당 청구 판정 기준 마련 ▲기왕증에 대한 요양급여 심사기준 마련 등을 주문했다.

김 교수는 "부당·허위 청구의 조사 효율화를 위해 진료비 전자청구를 활성화해야 한다"면서 "이미 개발돼 시행중인 건강보험 EDI 청구 시스템을 활용하면 보험간 정보공유를 통해 가짜 환자를 적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어 "건보와 자보의 진료비 심사가 분리돼 기왕증 논란이 지속되는 만큼 진료비 심사도 심평원에 위탁해 이중청구나 기왕증 여부를 확인할 필요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조연행 보험소비자연맹 부회장 역시 "가짜 자동차 사고 환자들로 인한 보험금 누수를 피부에 느낄 정도"라면서 "건보공단이 보유한 건강보험의 정보 공유로 기왕증 논란과 허위 진료비 청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6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ㅁㄴㅇㄻㄴㅇㄹ 2011.06.24 20:03:00

    김진현 낯짝좀 크게 보여줘
    ㅁㄴㅇㄻㄴ

  • 이런개나발 2011.06.24 18:15:04

    참 젖가튼 것들이 헤집고다니는군
    기왕증으로 문제면 공단에서 진료기록을 다 넘겨받으면 되겠네.
    기왕증이 있던 환자가 교통사고로 아프면 치료도 못받냐??
    그게 나이롱환자 기준이냐??

  • 간호대교수 2011.06.24 16:23:11

    김진현이
    안끼는 곳이 없구나

  • 차라리 2011.06.24 15:06:20

    너네들이 자보환자 보는게 어떨까?
    자보전용 병원설립해서 자보환자는 너네들이 봐라!

  • ㅇㄻㄴㅇㄻㄴㅇㄹ 2011.06.24 14:35:45

    약국없애자
    아낄수 있는데 왠 약국에서 의료행위를 한다는 말인가? 그냥 약국을 없애고 의약분업도 없애고 조제료 리필제로 가자. 약국도 봉사하고 싶다는데.

    한국의료의 암적인 존재가 약국이다. 치질연고 1만원에 받아쳐먹는것봐라.

    돈 없다고 일반약 만드니까 약국에서 사기쳐먹겠다는 뜻이야?

    그리고 왜 의사재산을 일반약 약국재산으로 강제 약탈을 하는데?

    이는 경찰을 불러서 절도죄 강도죄로 감방에 쳐넣어야 할 사항이다

  • 쩝.. 2011.06.24 11:00:37

    이봐유. 대한민국에는...
    진료 거부권이라는게 없거덩여?
    생각 좀 하셍.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