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조합 조헌제 이사 "순이익 65% R&D 투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조헌제 이사는 "제약업계가 리베이트나 주는 집단으로 비춰지고 있어 안타깝다. 이런 인식들이 약가인하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아쉬워했다.
17일 오후 조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다.
그는 먼저 제약업계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조 이사는 "작년도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제약업은 14조원의 매출에 7700억원의 순이익을 남겼다. 이중 5600억원을 R&D 투자에 썼다. 전체 제조업의 3배 이상이다. 최고의 투자를 하고 있는 셈"이라고 환기시켰다.
그는 이어 "따라서 (제약업이 돈 벌어서 리베이트로 쓴다는) 정부의 주장은 맞지 않다. 순이익에서 연구 활동비를 빼면 2000억원 남짓인데, 여기서도 공장 시설투자 등 투자하는 돈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줄만한 리베이트가 얼마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이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제약업이 리베이트 집단으로 치부받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물론 제약사들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지만, 일부의 국한된 상황을 전체로 봐서는 안된다. 하지만 이것이 약가인하까지 비화되고 있다. 국민들이 한국 제약계를 리베이트만 주는 집단으로 불신과 오해를 갖고 있다"고 답답해했다.
이어 그는 "이런 공감대가 형성되다보니 제약업계가 아무리 혁신을 강화하고 좋은 약을 만들어 국민 건강에 기여해도 알아주지 않는다. 왜곡된 정보가 퍼져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조 이사는 이런 왜곡된 정보가 약가인하로 이어지는 상황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미 FTA만 예를 들어도 허가-특허가 연계됐을 때 국내 제약사는 지적재산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신규 제네릭은 고사하고 신약개발이나 개량신약이 나와도 선행 특허에 발이 묶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지금 약가인하를 논할 때가 아니다.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헬스케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한다. 제약산업은 향후 50년간 경제를 먹여살릴 분야다. 약가인하 등으로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 안된다"고 환기시켰다.
17일 오후 조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다.
그는 먼저 제약업계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조 이사는 "작년도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제약업은 14조원의 매출에 7700억원의 순이익을 남겼다. 이중 5600억원을 R&D 투자에 썼다. 전체 제조업의 3배 이상이다. 최고의 투자를 하고 있는 셈"이라고 환기시켰다.
그는 이어 "따라서 (제약업이 돈 벌어서 리베이트로 쓴다는) 정부의 주장은 맞지 않다. 순이익에서 연구 활동비를 빼면 2000억원 남짓인데, 여기서도 공장 시설투자 등 투자하는 돈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줄만한 리베이트가 얼마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이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제약업이 리베이트 집단으로 치부받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물론 제약사들이 검찰 조사를 받고 있지만, 일부의 국한된 상황을 전체로 봐서는 안된다. 하지만 이것이 약가인하까지 비화되고 있다. 국민들이 한국 제약계를 리베이트만 주는 집단으로 불신과 오해를 갖고 있다"고 답답해했다.
이어 그는 "이런 공감대가 형성되다보니 제약업계가 아무리 혁신을 강화하고 좋은 약을 만들어 국민 건강에 기여해도 알아주지 않는다. 왜곡된 정보가 퍼져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조 이사는 이런 왜곡된 정보가 약가인하로 이어지는 상황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미 FTA만 예를 들어도 허가-특허가 연계됐을 때 국내 제약사는 지적재산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신규 제네릭은 고사하고 신약개발이나 개량신약이 나와도 선행 특허에 발이 묶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지금 약가인하를 논할 때가 아니다.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헬스케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한다. 제약산업은 향후 50년간 경제를 먹여살릴 분야다. 약가인하 등으로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면 안된다"고 환기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