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장관에게 개선 요청 "다국적회사보다 불리하다"
보건복지부 진영 장관과 의료기기업계가 최근 첫 상견례를 가졌다.
간담회에 앞서 짧게나마 기자들의 사진촬영을 위한 시간도 마련됐다.
상견례인 만큼 일상적인 덕담이 오갔고, 복지부가 국내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약속하는 등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다.
하지만 기자들에게 공개된 5~10분 가량의 시간이 끝나고 복지부 대회의실에서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는 다소 무거운 분위기도 연출됐다는 후문이다.
이유인 즉, 국내 의료기기제조업체들이 식약처 의료기기 인허가와 신의료기술 평가와 관련해 다국적의료기기 및 수입업체와 비교해 불리한 조건 속에서 불평등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는 불만을 쏟아냈기 때문.
간담회에 참석한 의료기기업계 관계자에 따르면,국내 A사 사장은 외산보다 국산 의료기기의 인허가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고 지적했다는 전언이다.
그는 신의료기술 국산 의료기기의 경우 식약처 품목허가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신의료기술평가를 거쳐 심평원 보험수가를 받기까지 약 2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다국적의료기기업체들의 경우 해외에서 받은 인증을 국내에서도 그대로 인정해주기 때문에 국내업체보다 훨씬 빠른 시간에 인허가 및 보험수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신의료기술 국산 의료기기는 식약처, 보건의료연구원, 심평원 등이 원스톱으로 처리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다른 B사 대표 역시 수입 의료기기와 국산 의료기기의 인허가 소요 시간이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수입 의료기기는 불과 3개월이면 식약처에서 수입허가를 받을 수 있는 반면 국산 의료기기 품목허가는 이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하소연이다.
그는 식약처가 의료기기 인허가 심사가 빨라졌다고 하지만 이는 수입 의료기기에만 해당되는 것이라며,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가 국내 제조업체를 옥죄고 있는 건 아닌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업체들이 처해있는 인허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복지부에 의료기기 관련부서를 신설해야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돼 이목을 끌었다.
의료기기단체 한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전자과에서 의료기기를 관리하고 있지만 복지부에는 의료기기과가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국내 제조업체들이 의료기기 인허가에 다급함을 느끼고 있고, 정부 R&D 지원도 일관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부가 의료기기과를 신설해 국내 의료기기산업을 집약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갖춰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간담회에 앞서 짧게나마 기자들의 사진촬영을 위한 시간도 마련됐다.
상견례인 만큼 일상적인 덕담이 오갔고, 복지부가 국내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약속하는 등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다.
하지만 기자들에게 공개된 5~10분 가량의 시간이 끝나고 복지부 대회의실에서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는 다소 무거운 분위기도 연출됐다는 후문이다.
이유인 즉, 국내 의료기기제조업체들이 식약처 의료기기 인허가와 신의료기술 평가와 관련해 다국적의료기기 및 수입업체와 비교해 불리한 조건 속에서 불평등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는 불만을 쏟아냈기 때문.
간담회에 참석한 의료기기업계 관계자에 따르면,국내 A사 사장은 외산보다 국산 의료기기의 인허가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고 지적했다는 전언이다.
그는 신의료기술 국산 의료기기의 경우 식약처 품목허가와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신의료기술평가를 거쳐 심평원 보험수가를 받기까지 약 2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다국적의료기기업체들의 경우 해외에서 받은 인증을 국내에서도 그대로 인정해주기 때문에 국내업체보다 훨씬 빠른 시간에 인허가 및 보험수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신의료기술 국산 의료기기는 식약처, 보건의료연구원, 심평원 등이 원스톱으로 처리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다른 B사 대표 역시 수입 의료기기와 국산 의료기기의 인허가 소요 시간이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수입 의료기기는 불과 3개월이면 식약처에서 수입허가를 받을 수 있는 반면 국산 의료기기 품목허가는 이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하소연이다.
그는 식약처가 의료기기 인허가 심사가 빨라졌다고 하지만 이는 수입 의료기기에만 해당되는 것이라며,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가 국내 제조업체를 옥죄고 있는 건 아닌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업체들이 처해있는 인허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복지부에 의료기기 관련부서를 신설해야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돼 이목을 끌었다.
의료기기단체 한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전자과에서 의료기기를 관리하고 있지만 복지부에는 의료기기과가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국내 제조업체들이 의료기기 인허가에 다급함을 느끼고 있고, 정부 R&D 지원도 일관성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부가 의료기기과를 신설해 국내 의료기기산업을 집약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갖춰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