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하나된 의료계 "의협 투쟁 따를 준비됐다"

발행날짜: 2013-11-06 12:05:04
  • 시도의사회, 협회 보조 맞춰 원격진료 저지 조직적 대응

대한의사협회가 모든 직역을 망라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대정부 투쟁에 나서기로 결의한 가운데 시도의사회에서도 성명서와 호소문이 뒤따르는 등 투쟁 열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6일 충북의사회는 원격진료 저지 호소문을 통해 지역 정치인과 국민, 언론인들의 여론 환기에 나섰다.

자료사진
충북의사회는 호소문을 통해 "원격진료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진료 행위로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문진, 시진, 촉진 등 대면진료를 능가할 수 없다"면서 "의료 접근성이 뛰어난 우리나라에서 원격진료가 대면진료를 함부로 대체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충북의사회는 "원격진료는 의료 접근성이 심각히 떨어지는 국가에서는 효율적이지만 우리나라처럼 의료접근성이 뛰어난 나라에는 불필요하다"면서 "원격의료가 질병관리를 더 잘하고 질병치료를 더 잘한다는 객관적인 증거도 아직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안광무 부회장은 "편의만 강조하는 법안은 의료 본질을 파괴하는 것과 다름 없다"면서 "아직도 많은 국민과 정치인들이 이런 내용을 몰라 정부의 언론 플레이에 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런 호소문을 오늘부터 각 시도 책임자들에게 팩스와 이메일로 발송하겠다"면서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전격 부상된 원격진료의 허구성을 폭로하겠다"고 덧붙였다.

경북의사회도 성명서를 발표하고 "국민 건강권을 훼손하고, 의료의 본질을 왜곡시키는 원격진료 강행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의사회는 "오로지 계량화된 디지털 숫자와 제한된 영상 화면만으로는 국민의 건강을 최선으로 유지할 수 없다"면서 "이는 의료 본질의 가치를 무시한 졸속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의사회 임수흠 회장은 "시도의사회 회장단 회의를 통해 원격진료 저지에 공감대를 이뤘다"면서 "의협의 비대위 구성과 활동에 시도의사회도 적극 지지할 준비가 됐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