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힘든 발바닥 통증 환자도 진료비도 해마다 30%↑

발행날짜: 2013-12-01 13:38:18
  • 건보공단 분석 결과…여성 환자 남성의 1.5배

족저근막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와 진료비는 해마다 30%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은 2008~2012년 '족저근막염(M72.2)'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1일 밝혔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부터 발바닥 앞쪽으로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말한다. 발바닥의 굴곡을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걸을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 염증이 생긴 것이 족저근막염이다.

‘족저근막염' 진료인원 및 진료비 추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족저근막염 환자는 2008년 5만 812명에서 2012년 13만 8492명으로 8만 7680명, 2.7배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28.5%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환자가 남성보다 1.2~1.4배 더 많았다.

건강보험 진료비도 2008년 40억 원에서 2012년 115억 원으로 2.9배 늘었으며 연평균 30.1%씩 증가했다.

2012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환자 구성을 보면 40~50대가 48.7%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30대가 17.2%. 60대 12.6%, 20대 8.7%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윤한국 교수는 "여성은 폐경기를 기점으로 호르몬 변화가 생기면서 발의 지방층이 얇아져 쿠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40~50대 중년 여성에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쿠션이 적은 레인부츠를 즐겨 신는 여성이 늘면서 젊은 여성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