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법·치료제 극과 극…"질환 관리 인센티브 필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진료지침과 실제 임상현장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시행되는 COPD 적정성 평가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공개한 '만성폐색성폐질환 평가방안 연구(연구책임자 황수희)' 보고서에 따르면 COPD 치료에 있어 지침과 임상에 큰 간극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에서 만든 'COPD 진료지침 2012 개정'을 바탕으로 임상현장과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진료지침에 따르면 폐기능 검사는 COPD 진단을 위해서 가장 객관적인 방법이며 적어도 1년에 1번 이상의 폐기능 검사 시행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검토하도록 권하고 있다.
그러나 1년에 한 번 이상 폐기능 검사를 한 비율은 30% 미만이고 특히 의원에서는 COPD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임에도 검사율은 10%에도 못미쳤다.
2011년을 기준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은 모든 곳이 폐기능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의원은 10곳 중 4곳만이 검사장비를 갖고 있었다.
진료지침과 임상현장에서 차이를 보이는 또다른 항목은 COPD 약물 치료 시 선택 약제부분이다.
진료지침에서는 기관지확장제가 COPD 치료의 중심이다. 효과나 부작용을 고려할 때 흡입약제를 우선 사용토록 원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먹는약인 테오필린을 포함한 메틴잔틴 유도제 처방이 68.2%로 가장 많았다. 전신기관지확장제가 뒤를 이었다.
흡입제 처방은 의원에서 COPD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가장 낮았다.
호흡재활 부분에서도 임상현장과 진료지침은 맞지 않았다. COPD 증상이 있는 모든 환자에게 호흡재활을 권할 수 있지만 꾸준한 병원 방문의 어려움, 비용 등의 문제로 활성화되지 않고 있었다.
특히 금연은 모든 COPD 환자에게 폐기능 감소를 늦출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흡연여부를 매번 확인하고 치료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지만 참여율 역시 낮았다.
연구진은 "흡입제제 사용과 급성악화 대처 등을 위한 충분한 환자교육도 필요하지만 환자 관리를 위한 수가 등 기반이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현장과 진료지침의 간극을 설명하며 COPD 질 평가 체계 도입을 제안했다. 이와함께 환자교육 체계를 갖추고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 도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환자교육을 위해 들어가는 시간이 길고, 흡입제 시범교육과 시설 및 교육자료 마련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만성질환관리료 같은 환자교육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심평원은 올해부터 COPD 적정성평가를 1년 단위로 실시한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시행되는 COPD 적정성 평가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공개한 '만성폐색성폐질환 평가방안 연구(연구책임자 황수희)' 보고서에 따르면 COPD 치료에 있어 지침과 임상에 큰 간극이 나타났다.
연구진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COPD 진료지침 개정위원회에서 만든 'COPD 진료지침 2012 개정'을 바탕으로 임상현장과의 차이점을 연구했다.
진료지침에 따르면 폐기능 검사는 COPD 진단을 위해서 가장 객관적인 방법이며 적어도 1년에 1번 이상의 폐기능 검사 시행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검토하도록 권하고 있다.
그러나 1년에 한 번 이상 폐기능 검사를 한 비율은 30% 미만이고 특히 의원에서는 COPD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임에도 검사율은 10%에도 못미쳤다.
2011년을 기준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은 모든 곳이 폐기능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의원은 10곳 중 4곳만이 검사장비를 갖고 있었다.
진료지침과 임상현장에서 차이를 보이는 또다른 항목은 COPD 약물 치료 시 선택 약제부분이다.
진료지침에서는 기관지확장제가 COPD 치료의 중심이다. 효과나 부작용을 고려할 때 흡입약제를 우선 사용토록 원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먹는약인 테오필린을 포함한 메틴잔틴 유도제 처방이 68.2%로 가장 많았다. 전신기관지확장제가 뒤를 이었다.
흡입제 처방은 의원에서 COPD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가장 낮았다.
호흡재활 부분에서도 임상현장과 진료지침은 맞지 않았다. COPD 증상이 있는 모든 환자에게 호흡재활을 권할 수 있지만 꾸준한 병원 방문의 어려움, 비용 등의 문제로 활성화되지 않고 있었다.
특히 금연은 모든 COPD 환자에게 폐기능 감소를 늦출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흡연여부를 매번 확인하고 치료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지만 참여율 역시 낮았다.
연구진은 "흡입제제 사용과 급성악화 대처 등을 위한 충분한 환자교육도 필요하지만 환자 관리를 위한 수가 등 기반이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현장과 진료지침의 간극을 설명하며 COPD 질 평가 체계 도입을 제안했다. 이와함께 환자교육 체계를 갖추고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 도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환자교육을 위해 들어가는 시간이 길고, 흡입제 시범교육과 시설 및 교육자료 마련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지 않다. 이 때문에 만성질환관리료 같은 환자교육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심평원은 올해부터 COPD 적정성평가를 1년 단위로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