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800억 '스티렌' 월 30억원선 붕괴

이석준
발행날짜: 2014-12-17 11:56:55
  • 급여 이슈 발생 후 내리막 뚜렷…개량 신약 공세까지

[메디칼타임즈=] 불과 2~3년 전만해도 연간 800억원 안팎의 처방액을 보이며 국민 위장약 칭호를 얻던 동아ST '스티렌'이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가장 최근 집계 데이터(UBIST 기준)인 11월에는 30억원 아래로 떨어졌다. 올해 가장 낮은 월 처방액이다.

업계는 '스티렌' 부진을 일부 적응증( NSAIDs 투여로 인한 위염의 예방) 급여 이슈와 개량 신약 공세 등이 맞물린 결과로 판단한다.

여기에 2년전 터진 동아 동영상 리베이트 사건으로 생겨난 의료계 반감도 어느정도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올해 '스티렌' 월 처방액 추이를 보면 1월 44원에서 6월 34억원으로 감소하더니 11월에는 29억원으로 더 줄었다.

1월과 11월을 비교하면 한달에 15억원 처방액이 허공으로 사라진 셈이다.

'스티렌' 처방액 감소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급여 이슈는 1심에서 급여 유지 판결이 나왔지만 복지부 항소로 여전히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료계 우려가 많다.

자칫 급여 이슈 적응증으로 약을 처방했다가 삭감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관계자는 "스티렌이 1심에서 급여 유지 판결이 나왔지만 현장 반응은 위험 요소가 살아있는 약을 굳이 위염 예방 목적으로 쓸 필요 있냐는 것이다. 대체약이 많다는 점도 스티렌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듯 하다"고 귀띔했다.

개량신약 급성장도 '스티렌'에게는 부담이다.

'오티렌'만 봐도 올해 처방액이 첫 100억원을 넘을 것이 확실시된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2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출산장려 2012.05.08 09:05:16

    한국에서 자녀들에게 투자없이 어떻게 키우나.
    출산장려권고하고 처음에만 신경써서야 무슨의미인가?
    지속적으로 없는사람들이 먹고,교육 받고 혜택을 누릴 수 있어야지 국회의원등 능력있는 사람들의 봉사와기부문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않는 한 실천가능성은 모호하다.

  • 정신의료기관협회놈들.. 2012.05.07 21:20:21

    모든게 돈으로밖에 보이지 않으니...
    모든 정책에 우선은 의료공급자가 아니라 환자들의 입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인데 자기들 수입 떨어진다고 3개월씩이나 출산휴가에 대해 의사인력기준 예외를 인정하거나 정신보건전문인력으로 대체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니.. 참으로 어이가 없다. 정신과 전문의 구하기 힘드니 정신보건전문요원이 대신 정신치료하고 약처방도 할 수 있게 해주라고 주장하는 것과 뭐가 다른가... XX 놈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