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참여의원들 공개 꺼리는데 오픈하라니 답답"

이창진
발행날짜: 2015-02-26 05:43:00
  • 복지부 "의협이 참여하면 바로 공개…시범사업 돕는 의사들 있다"

보건복지부가 원격의료 시범사업 공개검증을 거부하고 있다는 의료계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원격의료 시범사업 참여 의원들이 공개를 꺼리고 있어 의료단체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게 복지부의 입장이다.

복지부 원격의료기획제도팀 손일룡 팀장은 25일 "원격의료 시범사업 공개 검증은 의사협회와 하고 싶다. 복지부만 사업을 하다 보니 참여 의원들이 알려지길 꺼려한다"고 말했다.

앞서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는 복지부와 보건소 등에 원격의료 시범사업의 안전성 공개검증을 23회 요청했으나 현장 확인을 거부하거나 비협조로 일관했다고 비판하면서 공개 검증을 재차 촉구했다.

기자회견에 동석한 고려대 이경호 교수(정보보호대학원)는 "보건소 현장 견학을 통해 관리 PC를 들여다 본 결과, 비 암호화 통신과 악성코드 감염 노출, 비밀번호 설정 취약 등 문제점을 확인했다"며 시스템 보안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손일룡 팀장은 "당초 시범사업 모델은 의협과 정부가 공동으로 참여해 원격의료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고, 개선하자는 것"이라고 전하고 "의협이 갑자기 내부 사정 때문에 들어오지 못했다"며 그동안의 경과를 설명했다.

손 팀장은 "복지부가 참여 의원과 시범사업을 진행하니 해당 의원들이 알려지질 꺼려한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보여 달라니 답답하다. 내일이라도 (의협이 시범사업에)들어오기만 하면 참여 기관을 보여 주겠다"며 의협의 전향적 자세를 주문했다.

의협은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원격의료 시범사업 공개검증을 거부하고 있다며 복지부를 비판했다. 기자회견 중인 최재욱 의료정책연구소장(왼쪽)과 고려대 이경호 교수.(오른쪽)
손 팀장은 원격의료 시스템 보안성 지적과 관련 "의협 주장은 추상적이다"라고 전제하고 "완벽할 수 없다. 기술적인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고려대 모 교수에게 보안 가이드라인 및 연구용역을 맡겼다. 3월말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해명했다.

손일룡 팀장은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적극 도와주는 의사들이 있다"면서 "2차 시범사업을 위해 지역의사회와 의사들을 접촉하고 있다. 사업 모델을 제안하고 의사의 역할 등 의견을 교환하면서 원격의료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다"며 의료계의 협조를 당부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