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 홍동완 박사팀, 암 억제 유전자 억제 변이 발견

이창진
발행날짜: 2015-10-13 12:02:09
  • 하버드의대와 공동연구-네이처 제네틱스 최신호 게재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는 13일 "홍동완 박사팀이 암 억제 유전자 기능을 떨어뜨리는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종양면역학연구과 홍동완 박사팀은 하버드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1800여명 암환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TP53, ARID1A, VHL과 같은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가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기전을 체계적으로 입증했다.

유전자가 단백질을 생성해 우리 몸에 작용하기 위해서는 DNA를 RNA로 발현시키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스플라이싱'(Splicing)라고 한다.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인류가 앓고 있는 암과 같은 유전적 질환의 30~60%는 이 과정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결과, 비정상적인 스플라이싱의 결과 암 억제 유전자가 제대로 발현 생되지 못해 결국 암 억제 기능을 저해하는 새로운 형태의 돌연변이를 발생했는데, 대부분 변이 위치가 주요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 내 엑손의 끝자리임을 확인했다.

홍동완 박사는 "대규모 암환자의 유전체 빅데이터로부터 이러한 유전자 변이를 찾아낸 것은 처음"이라면서 "연구에서 개발한 이상 스플라이싱 예측 모델이 새로운 암 진단기법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공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 2015년 10월 5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