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삽입술 시 대량 출혈, 의료진 책임 20%

발행날짜: 2015-12-12 05:55:45
  • 서울중앙지법, 6천만원 배상 판결 "의료진도 합병증이라고 진술"

급성 신부전증이 발생한 환자에게 오른쪽 쇄골아래 부위 중심정맥관 삽입술을 하려다가 실패했다. 환자의 혈압이 잡히지 않고 사지가 늘어졌지만 의료진은 혈압을 올리기 위해 승압제 투여만 했다.

약 4시간 후, 의료진은 중심정맥관 삽입술을 또다시 시도했다가 실패. 20분 만에 다시 시도해서 드디어 성공했다. 그리고 흉부 방사선 검사를 했더니 오른쪽에 혈흉이 관찰됐다.

의료진은 실패를 거듭하다 중심정맥관 삽입술을 성공한 지 30분이 지나서야 수혈을 했다. 신성동맥혈장 4백, 적혈구 6팩을 수혈했다. 환자의 오른쪽에 흉관을 삽입해 총 5.1리터(L)의 혈액을 배액 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제18민사부(재판장 정은영)는 최근 중심정맥관 삽입술 실패를 통한 대량 출혈로 사망에 이른 환자 측 유족이 충청북도 C대학병원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의료진의 과실을 인정하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법원은 C대학병원이 유족 측에 6288만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했다. 의료진 책임은 20%로 제한했다.

중심정맥관 삽입술은 혈역동학적 관찰을 필요로 하고 약물의 사용과 고단위 영양분 공급, 투석을 해야 하는 중환자에게 필수적인 시술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하지만 중심정맥관 삽입 후 24시간 안에 기흉, 혈흉, 혈종, 공기색전증, 감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침습적 시술이다.

유족 측은 중심정맥관 삽입술 시행 및 이후 처치상 과실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중심정맥관 삽입술을 할 때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안전하게 삽입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게을리해 혈관을 손상시켜 대량 출혈에 따른 혈흉을 발생케 했다"며 "혈흉을 인지하지 못한 채 수혈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응고장애로 인한 쇼크로 환자가 사망하게 됐다"고 호소했다.

법원은 유족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시술 이후 상태 및 출혈 부위 등에 비춰볼 때 출혈 원인은 중심정맥관 삽입술로 인한 쇄골하동맥 손상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의료진도 진료경위서를 통해 합병증이라고 진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의료진은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데도 승압제를 투여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삽입술 시도 후 혈압이 저하되고 사지가 늘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원인을 찾기 위해 흉부 방사선이나 초음파 검사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했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