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남았습니다, 병원 개인정보 자가점검 마감하세요"

발행날짜: 2016-01-25 05:05:45
  • 심평원, 자가점검 완료기관 분석 "신청 요양기관 중 35% 미완료"

개인정보 자가점검 마감이 이달을 끝으로 마감되는 가운데 대상 요양기관 중 30% 이상이 자가점검을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기간이 1주일이 남은 만큼 대부분의 요양기관이 순조롭게 자가점검을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더 이상의 유예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25일 심평원에 따르면, 개인정보 자가점검을 신청한 8만5654개 요양기관 중 지난주까지 4만7175개 요양기관이 자가점검을 완료했다.

즉 심평원에 자가점검을 신청한 2만6956개, 36.4%의 요양기관이 아직 완료하지 못했거나 자가점검을 실시 중이라는 뜻이다.

구체적으로 대상기관이 가장 많은 의원급 의료기관은 2만5324개 중 1만7192개(68.4%%)가 정해진 기간 내 자가점검을 완료했으며, 약국은 2만567개 중 1만2311개(60.8%%)만이 자가점검을 완료한 것으로 집계됐다.

종별 개인정보 자가점검 완료 현황(자료제공 : 심평원)
병원급의 경우 1191개 중 576개(48.3%)만이 자가점검을 완료했으며, 나머지 요양병원은 1168개 중 251개(38.1%), 종합병원은 244개 중 103개(41.7%%)만이 자가점검을 기한 내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32개가 자가점검을 신청해 지난주까지 10개, 31.2%만이 기한 내 자가점검을 완료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자가점검 완료기간을 한 달간 유예했으며, 일단 이행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이번 달까지는 대부분의 요양기관이 자가점검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기대했다.

그는 "자가점검의 경우 요양기관들이 개인정보 관리를 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라며 "아직 자가점검을 완료하지 못했다면, 이달까지는 꼭 완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심평원은 자가점검을 완료한 요양기관 대부분 80점 이상으로 성숙도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개인정보 자가점검 성숙도 현황(자료제공 : 심평원)
실제로 자가점검을 완료한 4만7172개 요양기관 중 절반 이상인 4만2832개 요양기관이 자가점검 결과, 80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한 달간 완료기간을 유예했지만, 더 이상 자가점검 완료기간을 유예하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라며 "자가점검을 완료했다면 이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4월까지 개선사항을 이행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심평원은 약 8만4000개 의료기관과 약국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전국순회교육과 함께 11월 초까지 자율점검을 위한 신청을 받았다.

특히 복지부는 심평원이 진행한 개인정보 자율점검 미 신청 요양기관 명단을 행자부에 통보해 개인정보보호 관련 요양기관 현장점검을 실시하겠다는 뜻을 피력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