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만료 위기 '쎄레브렉스' 처방 근거 내놨다

이석준
발행날짜: 2016-02-29 17:37:20
  • 국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COX-2 억제제 처방 당위성 연구 발표

한국화이자제약이 진행한 연구에서 최근 특허 만료된 '쎄레브렉스(쎄레콕시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결과가 도출됐다.

요점은 간단하다.

류마티스관절염 및 골관절염 환자 90% 이상이 위장관계 위험인자 보유했지만 위장관계 부작용이 적은 선택적 COX-2 억제제 처방 비율은 절반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쎄레브렉스'는 랜드마크 스터디 CONDOR, GI-REASONS에서 '전체 위장관에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NSAID 범주에 속하지만 COX-2 억제제로 비선택적 NSAID와는 차별화를 둔 것이다.

한국화이자제약은 국내 류마티스관절염 및 골관절염 환자의 위장관계 위험인자 및 비스테로이드항염제(NSAIDs) 및 위장관 보호제(PPI) 치료 패턴 대규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20개 기관에서 비개입적, 단면적 관찰연구로 진행된 연구는 한국 류마티스관절염 환자(981명) 및 골관절염 환자(915명) 등 총 1896명을 대상으로 약 10개월간 시행됐다.

그 결과, 류마티스관절염 및 골관절염 환자 90%가 위장관계 위험인자에 해당하는 NSAIDs 3개월 이상·스테로이드·고용량 비선택적 NSAIDs·아스피린·항응고제 복용, 위장관계 이상반응, 동반질환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환자군 치료 패턴을 보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는 선택적 COX-2 억제제(54.3%)를 비선택적 NSAIDs(45.7%)보다, 골관절염 환자는 비선택적 NSAIDs(55.8%)를 선택적 COX-2 억제제(44.2%)보다 많이 사용했다.

60세 이상에서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24.6%, 골관절염 환자 33.9%는 적절한 위장관계 합병증 예방치료가 되지 않았다.

두 질환 군 모두 위장관계 위험인자 보유 개수가 증가함에도 선택적 COX-2 억제제의 사용 빈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 실제 진료 환경에서 류마티스관절염 및 골관절염 환자 90%가 위장관계 위험인자를 가졌음에도 선택적 COX-2 억제제 처방 비율은 절반 정도 낮았다.

서울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은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60세 이상은 물론 60세 미만 젊은 환자 모두에서 위장관계 합병증 예방을 고려한 적절한 NSAIDs 치료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