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정형외과 사태 본말전도…복지부, 상황파악 못 해"

발행날짜: 2016-03-28 05:05:51
  • 정형외과의사회 김용훈 회장 "주사기 아닌 주사약 오염 문제"

"PRP 시술을 돈 받고 할 수 없다는 것은 정형외과 의사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보건복지부는 정확한 상황 파악을 못하고 있다."

김용훈 회장
대한정형외과의사회 김용훈 회장은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춘계연수강좌에서 이 같이 말했다.

앞서 정형외과의사회는 보건복지부, 정형외과학회, 보건의료연구원과 공동으로 "5개 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의료기관은 환자에게 질병 치료 목적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치료술(PRP)을 하더라도 비용을 받을 수 없다"고 공표했다.

김 회장은 "PRP는 신의료기술 평가 대상이기 때문에 비용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홍보를 의사회 차원에서 수년간 해왔다"며 "돈을 받아서도 안되고, 프롤로 등 다른 시술과 같이 하는 것도 안된다. 정형외과 의사라면 다 아는 공공연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복지부 측에서 개원가의 PRP 시술과 관련해 논의를 하자는 연락을 먼저 해왔다"며 "의사회 입장에서는 매번 홍보를 해오던 내용이라 이번 발표가 특별할 것은 없다"고 밝혔다.

현재 5개 대학병원에서 PRP에 대한 임상 연구가 한창 진행 중인 상황. 정형외과의사회도 이 결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김용훈 회장은 "PRP는 스테로이드나 히알루론산 주사보다 효과가 떨어지지만 환자 만족도가 높다는 평이 많다"며 "실제로 PRP가 효과 있다는 논문도 많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 공신력 있는 과학적 데이터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PRP는 비용 때문에 실손 보험과도 연계돼 있기 때문에 5개 대학병원의 연구결과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강원도 원주에서 PRP 시술을 받은 환자가 C형간염에 집단 감염되는 사태를 PRP 시술과 직결하는 것은 잘못된 방향이라고 했다.

원주 한양정형외과 사태는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이 아니라 주사약 리도카인의 오염 문제였다는 것이 드러난 만큼 정부가 그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마취제가 문제지 PRP의 문제가 아니다. 본말이 전도됐다"며 "리도카인은 20cc 단위로 나오는데 의사들은 다 쓸 때까지 몇 번이고 쓰는 게 현실이다. 이 부분이 바뀌어야 하는데 복지부는 상황 파악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극단적 선택까지 한 의사의 권익 보호에 소극 대처했던 대한의사협회에 아쉬움도 털어놨다.

김 회장은 "경찰 수사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의협은 사실관계 파악에 주력해 회원 권익을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였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회원이 사회적으로 매도 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협은 소극 대처를 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