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기대·우려 교차…"응급환자 위한 공간 배치 필요"

1일 이대목동병원 권역응급센터 개소를 기념해 열린 심포지엄에서는 효율적인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라면서 병원의 적극적인 변화를 거듭 당부했다.
그에 따르면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면 중환자 중심의 진료로 응급실 진료체계를 바꿔야한다.
또한 지역 내 대형교통사고 등 재난으로 확대될 수 있는 상황에 늘 대처하고 대비해야하며 지역 내 유관단체 및 기관 등에 재난 및 응급의료 교육을 실시해야한다.
해당 지역 내 재난 및 응급상황을 총괄하는 의료기관으로 지정받은 만큼 이 정도의 역할은 해야한다는 게 윤한덕 센터장의 설명이다.
하지만 과연 가능할까.

그는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한다는 것은 병원 내 진료체계를 개편하는 작업"이라면서 "만만치 않은 작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대부분의 대학병원은 외래 및 병실 중심으로 운영, 늘 대기환자가 넘치고 그에 맞춰 장비 및 인력배치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언제 발생할 지 알 수 없는 응급환자를 위한 공간과 인력을 배치하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가령, 중환자실 환자가 2주 이상 입실하면 응급환자가 입원할 공간이 부족하다. 그 틈을 비워야하는 게 권역응급센터의 역할"이라면서 "이를 위해 대대적인 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민 회장은 두가지 측면에서 우려를 제기했다.
한가지는 '지역 응급의료기관에서 전원하는 응급환자를 받을 수 있는 공간과 인력을 남겨둘 수 있을 것인가'하는 점이고 나머지 하나는 '공공적인 역할에 얼마나 시간과 노력을 할애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점이다.
그는 "병동을 운영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와는 달리 여유 병동과 인력이 필요한데 만만치 않을 것"이라면서 "교육·재난의료 대처 등 공공의료적 측면 또한 상당히 부담스러운 업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