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1명 담낭용종…B형간염·대사증후군 남성 위험"

발행날짜: 2016-12-06 10:58:05
  • 복부초음파검사 2만 3,827명 분석 결과, 담낭용종 유병률 9.96%

담낭(쓸개)에 혹이 생기는 '담낭용종(Gallbladder polyp, 쓸개혹)'이 10명중에 1명꼴로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만성B형간염 및 대사증후군 남성에게서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병원(원장 김성덕) 외과 최유신 교수팀은 최근 '건강한 사람의 담낭용종 병변 유병율 및 위험인자를 조사한 연구 논문(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bladder Polypoid Lesions in a Healthy Population)'을 최근 발표했다.

최유신 교수팀은 중앙대병원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 건강검진을 한 건강한 한국인 중 복부초음파검사를 받은 14세에서 89세(평균연령 45.7세) 2만 3827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9.96%가 담낭용종이 있는 것을 확인됐으며, 이중 남성이 65.9%, 여성 34.1%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낭용종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담낭용종이 있는 사람은 만성B형간염(Chronic hepatitis B)과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 위험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담낭용종 환자 중 5%가 담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대사증후군이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대병원 외과 최유신 교수는 "과거 1999년 한국인의 담낭용종 유병율이 2.94%인데 반해 2012년 8.5%에 이어 이번 연구 결과 9.96%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는 복부초음파검사 빈도가 과거에 비해 늘어난 것이 원인이기도 하지만,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습관으로 인해 고칼로리와 고지방식이 늘어남에 따라 담낭용종의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 환자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확인했다.

이어 최유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B형간염 또한 담낭 내 점막에 영향을 미쳐 담낭용종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만성B형간염 및 대사증후군, 헬리코박터균이 있는 사람은 복부초음파를 통한 담낭용종 검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