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틴 넘보는 PCSK9억제제…효과+안전성 '탄탄'

원종혁
발행날짜: 2017-04-28 12:00:15
  • 인지장애 백내장 등 안전성 검증, 알리로쿠맙 14편 임상 통합 분석

스타틴의 자리를 노리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PCSK9 억제제'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치료 목표였던 LDL콜레스테롤(LDL-C) 수치보다 더 떨어뜨린 환자에서까지 안전성 근거를 만들고 있는 이유다.

글로벌 시장에 진입한지 채 2년이 안된 PCSK9 억제제들은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이종접합 가족형 고콜레스테롤혈증(HeFH) ▲스타틴 불내성 환자 등 3개 환자군에 초점을 맞춘 상태.

최근엔 LDL-C를 현저히 떨어뜨린 환자에서도 부작용 발생에 합격점을 받으며 치료제 사용에 안전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암젠의 레파차(성분명 에볼로쿠맙)와 사노피-리제네론의 프랄런트(성분명 알리로쿠맙)가 라이벌 구도를 만든 상황에, 국내에선 프랄런트가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으며 한 발 빨리 진입했다.

LDL-C 수치 조절에 안전성을 먼저 입증한 쪽은 사노피였다.

알리로쿠맙과 관련해 지금껏 공개된 총 14편의 2상 및 3상임상 결과를 통합 분석한 결과, 프랄런트를 통해 LDL-C 수치를 꾸준히 낮게 유지한 환자에서도 인지기능 장애 및 백내장 등 부작용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사노피는 "PCSK9 억제제가 등장함에 따라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을 비롯한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치료에서 목표보다 낮은 수준의 LDL-C 수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프랄런트는 환자의 LDL-C 조절 필요성 정도에 따라 의사가 용량을 조절하여 처방할 수 있도록 2가지 투여용량(75mg 및 150mg)으로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2월 미국심장학회지(JACC)에 게재된 해당 연구에는 10편의 주요 3상연구(ODYSSEY LONG TERM, ODYSSEY HIGH FH, ODYSSEY COMBO I, ODYSSEY OPTION I, ODYSSEY MONO, ODYSSEY ALTERNATIVE 등)와 4편의 2상임상이 속했다.

최대 2년간 52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LDL-C 수치가 연속 2회 이상 '25mg/dL 미만' 또는 '15mg/dL 미만'으로 유지된 환자군과 '25mg/dL 이상'의 환자군 사이엔 치료 관련 부작용 발생률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알리로쿠맙 치료군에서 LDL-C 수치가 연속 2회 이상 25mg/dL 미만으로 낮게 유지된 환자는 839명(25.1%), 15mg/dL 미만으로 유지된 환자는 314명(9.4%)이었는데 부작용 발생률은 대조군 대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신경학적 및 신경인지학적 부작용 발생률 역시 차이가 없었으며, 성향점수분석(Propensity score analysis) 결과 백내장 발생률이 각각 2.6%와 0.8%로 차이는 있었으나 알리로쿠맙 치료군과 대조군 간 차이는 없었다.

한편 프랄런트주는 최근 한국인 포함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ODYSSEY KT'연구에서 알리로쿠맙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다.

현재 장기적인 심혈관계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 연구를 진행 중이며, 해당 연구는 2017년 말에 완료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