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년 전통 '부산 침례병원' 왜 파산위기에 몰렸나

발행날짜: 2017-05-10 05:00:58
  • 확장 이전 이후 경영난 극심…양산부산대병원 여파 더욱 악화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회생신청을 통해 마지막 기회를 엿봤던 부산 침례병원이 법원의 회생신청 기각 판결로 파산 절차를 밟을 전망이다.

부산 왈레스침례병원은 규모는 물론 의료서비스 질 측면서도 남부럽지 않았던 만큼 예상밖의 몰락을 지켜보는 병원계 관계자들은 씁쓸한 표정이다.

부산 침례병원은 어떤 병원인가

부산 왈레스기념침례병원은 1951년, 의료선교사 활동 중 순교한 미국인 외과의사 빌 왈레스(William. L. Wallace)를 기념해 설립한 의료기관으로 1955년 문을 열었다.

이후 1968년 부산시 동구로 이전한 이후 병동을 신축하고 본관을 증축하는 등 최대 495병상까지 규모를 확장했다.

당시 직원은 약 600여명에 달했으며 1964년 수련병원으로 지정받은 이후 50여년간 인턴 및 레지던트 수련을 전담하며 의학교육 역할에도 일조해왔다.

1991년에는 암센터를 준공, 암환자 치료에 주력하고 다음해 응급의료센터를 개소하면서 더욱 입지를 견고히했다.

탄력을 받은 부산 침례병원은 1999년, 현재 병원이 위치한 부산시 금정구로 확장 이전하면서 기존이 495병상에서 608병상(지하 2층, 지상 12층)까지 규모를 키웠다.

병원 직원은 700여명에 달했고 23개 진료과목을 갖춘 종합병원으로 지역 내 거점병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왜 파산 위기에 직면했나

하지만 2014년도 빨간 불이 켜지면서 직원들의 체불 임금은 점점 더 늘어났고 병원 경영은 해를 거듭할수록 악화됐다.

급기야 지난해 의료진이 외부로 빠져나가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폐업 상태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60여년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해온 침례병원은 왜 파산 위기에 직면할 것일까.

부산지역 병원장 및 병원관계자들은 무리한 확장이전 등 다양한 요인을 꼽았다.

부산시 동구에 개원했을 당시에는 높은 병상가동률로 진료공간은 물론 환자 대기공간이 늘 부족했지만 도심에서 떨어진 금정구로 이전한 이후로는 기대만큼 성장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확장이전 이후 양산 부산대병원까지 개원하면서 경영안정화는 점점 더 어려워졌다.

부산지역 모 중소병원장은 "확장이전으로 부채가 상당한 상황에서 경영이 부진으로 과잉진료를 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이미지가 추락했다"면서 "인근에 양산 부산대병원이 오픈하면서 더욱 힘들어졌을 것"이라고 전했다.

부채를 채 갚기도 전에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이 개원하면서 경영안정화 기회를 찾지 못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또 다른 병원장도 "부산역 앞에 개원했을 당시에는 환자가 많았는데 이전하면서 부채 부담은 크고 환자는 늘지 않으면서 경영난이 점점 더 심해진 것 같다"면서 "위치적으로도 외곽으로 옮긴 것도 경영난 부진 요인이 됐을 수 있다"고 봤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6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침례인 2021.04.23 16:32:25

    침례병원근무자
    \"무리한 이전\"은 발단은 되었지만 \"무리한 이전\"이 원인은 아니다.. 모든 사업은 확장이후 수익을 개산하기 때문에 첨 이전시 계산은 맞았다. 하지만 병원내 도둑놈들이 많았다. 이사진들의 구성은 의사가 아닌 교단의 목사들로 구성되어 병원경영이나 진료와 상관없는 이사진들로 구성되었으며, 한몫 먹고 튀겠다는 도둑놈들로 구성되어 빼먹어감. 그리고 시대에 맞지 않는 수준의 의료진으로서 병원 규모에 걸맞지 않는 진료 수준을 보여줬다는게 패인으로 작용한다고 봐야한다. 1970년대 교육받은 최신 의료지식없는 의료진의 구성. 이것도 패인중하나.

  • 침례병원환자 2017.09.04 18:18:10

    재단의관계자들의외면으로
    침례병원은 그래도부산에서 지역의료봉사도 했었고 전국 침례교회개척시에 지원도많이했었는데
    부흥한교회의 목회자중에 총회장 이사장 으로 자릴하고있었는데 초량에서운영이잘되었지만
    신축남산동 건물착공때부터화합되지않은 경영진탓에 오랜기간동안 공사미루어지다가 겨우1999년완공하여 남산동에 종합병원으로써 10년정도 좀되는듯하더니 국공립 대형병원이생겨
    중소병원으로 밀려나 의료장비 의료진 진료서비스등 을 환자에게 제대로할수없게되어
    적자운영을했었고 이사진들이많아봐야 이사진에 개인교회목회자들이라 병원에신경쓰지않아
    재단이사 경영진 의 책임감없는 운영탓이라고봅니다
    재단과 이사진이 있는 병원이 왜파산지경까지가고 오늘이모양인지 원
    돈많은환자야 서울이던 좋은병원가서 진료받으면되지만
    남산동에병원 이용하다가 더멀리진료받으로다닐려니 서민환자힘드네

  • 일장 2017.07.15 10:03:38

    이전 이 실패의 가장큰요인 입니다.
    침례병원을 신뢰하며 믿음의 의료기관으로 지켜보고 이용했던 사람으로 파산의 가장큰요인은
    잘못된 이전이 가장큰요인입니다. 접근성의 불편 교통의 불편 차량접근추차의 불편 이 아주 큰 요인이라보면됩니다. 외지인들은 침례병원 한번갈려면 자가용 이용시 꽉막힌 도심 을 뚫고 들어와야 하며 병원진입로도 너무 갑갑하고 불편한 구조입니다. 다시 가기싫더라구요 반해 양산 부산대병원은 정말 접급하기 편리하며 막힘없고 시원한 접근성을 보이며 의료진들의 신뢰도 확고 하지요 안타깝습니다.

  • 희망 2017.05.28 21:43:20

    경영원장은 물러가라
    지금 경영원장인지 장난인지 정창진이라는 자는 하나님이 두려우면 어서 당장 그 자리를 놓고 떠나거라!!!
    감히 병원경영이 뭔지도 모르는 자가 사리사욕을 목적삼아 혈안이 되어 파산만 기다리고 있는 사악한 맘을 하나님은 두고 보시는 중이시다.하나님의 참으심을 이용하지마라! 진노의 불을 맞기전에 내려놓고 당신이 나가야지만 병원이 숨을 쉬고 다시 호흡할수가 있다!!! 내막을 아는 사람들과 기도하는 사람들은 동일한 한목소리를 주장하며 당신이 떠나기만 강력히 기도하며 기다리고 있다!!! 선량한 직원들을 선동하여 물의를 일으킨 죄값은 하나님이 물으실것이다!!!

  • ckehehdtjqw 2017.05.21 15:38:42

    근로자의 생계위협
    왜 이렇게된건지 경영진과 이사진의 책임감없는 경영이랄수밖에없는게죠
    현재남은직원 의 생계가위급하고 실직단계에서나마 급여없이 자릴지키고 있는데
    일자리를 다시 일어세울수없는지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2017.05.10 09:22:18

    부산양산대 → 양산부산대
    병원명이 잘못기재되었습니다.

    부산양산대병원(X) → 양산부산대학교병원(O)

    양산대학교병원은 없습니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