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정밀의료 프론티어 국제심포지엄 마련

이창진
발행날짜: 2017-06-04 12:36:12
  • 오는 14일 면역항암 등 국내외 석학 참석 "암 정복 돌파구"

국내외 석학들이 모여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 분야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는 오는 14일 국가암예방검진동 국제회의장에서 '정밀의료의 프론티어: 유전체학, 빅데이터, 면역항암 및 동물모델) 주제로 제11회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최근 의료계 큰 화두인 정밀의료는 진단 및 치료 나아가 예방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환자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새로운 보건의료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외 정밀의료의 최신 연구동향에 대해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

행사에는 ▲유전체학과 정밀의료(Genomics & Precision Medicine)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동물모델과 그 가치(Animal Models and Their Values in Advancing Precision Medicine) ▲정밀의료 시대의 빅데이터(Big Data in the Era of Precision Medicine) ▲정밀 면역항암치료: 유전자 이입을 이용한 T 세포 면역치료(Precision Immunotherapy: Targeting Cancers with T-cell Engineering) 등 총 4개 세션 12개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특히 세계적 석학인 미국 모핏암센터의 하비에르 토레스-로카(Javier F. Torres-Roca)박사, 일본 국립암센터의 카츠야 츠끼하라(Katsuya Tsuchihara)박사, 일본 동경대학교의 가츠시 도쿠나가(Katsushi Tokunaga)박사, 일본 이화학 연구소의 아츠시 요시키 (Atsushi Yoshiki)박사, 미국 유전체 의학을 위한 잭슨 연구소의 찰스 리(Charles Lee)박사, 프랑스 유럽 조르주 퐁피두 병원의 바스티앙 랑스(Bastien Rance)박사, 호주 멜버른 대학교의 필립 달시(Phillip K. Darcy)박사 등 전문가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강현 원장은 "심포지엄이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암 정복을 위해 애써 온 많은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는 암 분야의 주요 현안에 대한 국내외 석학의 심층적인 토론을 통해 우리나라 암 연구, 진료 및 국가암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2007년부터 매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해 왔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