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혈류감염 ‘중심정맥 카테터’가 주범

정희석
발행날짜: 2017-08-07 10:51:50
  • 해외 가이드라인 “클로르헥시딘 포함 드레싱 사용” 권고

[메디칼타임즈=] 병원감염 또는 의료관련감염은 입원뿐만 아니라 외래진료를 포함해 의료와 관련된 모든 감염을 일컫는다.

환자 유병률이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의료관련감염은 전체 입원환자의 5~1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목할 점은 의료관렴감염 발생 위험이 수술실 등 다른 병실과 비교해 중환자실에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 대부분은 위중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고 면역 기능 또한 저하돼있기 때문이다.

또 환자들의 체류 기간이 길고 치료 과정에서 각종 침습적인 장치를 많이 사용하며 항생제 사용도 빈번해 내성균 감염 위험이 높고 처치 과정에서 의료진과 환자가 빈번하게 접촉함으로써 교차 감염 위험도 증가하게 된다.

전국병원감시체계(KONIS)에 따르면,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전국 300병상 이상 중환자실에서는 총 2524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했다.

감염 종류를 살펴보면 혈류감염(Blood Stream Infection·BSI)이 1090건(43.2%)으로 가장 많았고 폐렴(Pneumonia) 735건과 요로감염(Urogenital Tract Infection·UTI) 699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혈류감염 중 침습적 의료장비인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CLABSI)은 932건으로 85% 가량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단순한 약물 투여뿐만 아니라 투석 영양공급·혈관 내 시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은 사망률이 약 3% 정도에 불과하나 중증 감염의 경우 사망률이 2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김재열 교수는 “미국에서는 연간 25만건의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atheter-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CRBSI)이 발생한다. 특히 중환자실이 51%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혈류감염 발생은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환자가 72%로 가장 높았다”며 “발생 시기는 평균 입원 후 12~26일째로 사망률은 27%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은 환자의 재원기간을 연장시키고 의료비용을 높인다는 점에서 예방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CLABSI 예방을 위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다.

CLABSI 예방을 위한 미국질병통제센터 권고사항(Category IA)
관련해 미국질병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는 ▲교육·훈련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부위 선택 ▲피부 준비 ▲카테터 드레싱 방법 등 우선 권고사항(Category IA)을 제시했다.

권고사항을 살펴보면, 중심정맥 카테터 사용 적응증, 올바른 삽입과 유지방법 그리고 CLABSI 예방을 위한 적절한 감염관리방법에 대해 직원들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해야 한다.

또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여부를 선택할 때 감염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권장 부위를 선택할 것인지, 물리적 합병증(기흉, 쇄골하 동맥 천자, 쇄골하 정맥 열상·협착, 혈흉, 혈전증, 공기색전증, 카테터 이상 위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부위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 위험과 이익을 따져 삽입 부위를 선택한다.

이와 함께 성인에서 중심정맥 카테터로 대퇴정맥(femoral vein) 사용을 피하고, 정맥 내 카테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즉시 제거할 것을 제시했다.

더불어 중심정맥 카테터와 말초동맥 카테터 삽입과 드레싱 교환 시 알코올이 함유된 0.5% 이상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으로 피부를 소독하되 만약 클로르헥시딘 사용이 금기라면 tincture of iodophor 또는 70% 알코올을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특히 최근 해외 가이드라인은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해 소독제 성분으로 피부 소독 및 항균 효과가 있는 ‘클로르헥시딘’ 포함 드레싱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2014년 개정된 미국의료역학회(SHEA)와 미국감염학회(IDSA) 가이드라인은 생후 2개월 이상 환자에게는 기존 스폰지 드레싱에서 클로르헥시딘이 포함된 드레싱 사용을 권고했다.

미국정맥주사간호사회(INS) 역시 클로르헥시딘 포함 드레싱 사용을 권고하는 것으로 최근 가이드라인을 개정했다.

실제로 클로르헥시딘 포함 드레싱은 메타 분석과 무작위 임상시험·코호트 연구 등을 통해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RBSI)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합병증 위험을 최소화해 비용절감 효과를 입증했다.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 예방을 위한 클로르헥시딘 포함 드레싱은 CRBSI 위험과 카테터 군체 형성(catheter colonization) 발생을 각각 45%·48%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0년 5월부터 2011년 7월까지 프랑스 대학병원 7곳과 일반병원 4곳 등 중환자실 12곳에서 진행된 RCT(Randomized Clinical Trials) 연구결과에서도 클로르헥시딘 겔 포함 드레싱의 CRBSI 감소효과가 입증됐다.

해당 RCT 연구는 혈관 카테터를 삽입한 환자 총 1879명을 대상으로 ▲클로르헥시딘 드레싱 ▲강력 부착 드레싱 ▲표준 드레싱의 CRBSI 발생률을 비교 조사했다.

이 결과 클로르헥시딘 드레싱은 비-클로르헥시딘 드레싱에 비해 주요 카테터 관련 감염 비율이 67% 더 낮게 나타났다.

더불어 카테터 군체 형성 발생은 비-클로르헥시딘 드레싱을 사용할 때 10.9/1000 catheter-day로 나타난 반면 클로르헥시딘 포함 드레싱은 4.3/1000으로 그 발생률이 낮았다.


의료기기·AI 기사

댓글 19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ㅉㅉ 2008.03.12 19:18:16

    조선일보에도 났구만.. 이사회 쓰레기 영감들!!!
    민주당 '공천칼잡이' 박경철, 의료계는 사퇴 공방
    뉴시스
    Url 복사하기
    스크랩하기
    블로그담기








    박경철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의 거취문제를 두고 의료계 내부에서 엇갈린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시도의사회장단 협의회는 최근 의협 박경철 정책이사가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대해 "일시적으로라도 이사직을 사퇴하고 개인자격으로 공심위 위원으로 활동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12일 협의회 관계자에 따르면 시도의사회장단은 2월29일 열린 구의사회 정기총회에서 이 같은 의견을 의협에 전달하기로 결정하고 조만간 성명서를 낼 예정이다.
    경기도의사회 윤창겸 경기도의사회장은 “의협이 정치적으로 중립성을 가져가야한다”며 과거 야당인 한나라당과 가깝다며 박해를 받았는데 이번 정권에서까지 그런 오해를 살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윤 회장은 이어 "일시적으로 사퇴하라는 정도로 무리한 요구는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주장은 이미 서울시의사회 내부에서도 제기, 확산되고 있다. 이미 강남구의사회 김영진 회장은 의협의 대변인직을 맡았을 정도로 대외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인물이 통합민주당에서 공심위를 맡고 있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반면 의협은 공식적으로 "공천심사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은 의협 입장에서 환영할 일"이며 "그런 이유로 의협에서 활동하는 것이 문제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바 있어 앞으로의 진행에 의료계 관계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반면 정치계에서도 일부 박경철 이사의 공심위 활동에 불편해 하는 이들이 나오고 있다.

    통합민주당 장복심 의원은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천심사위원회에서 현역국회의원인 자신이 전남순천시 1차 압축후보 중에 자신이 탈락한데 대해 불만을 표하며 박경철 이사가 통합민주당의 공천심사위원으로 활동함으로서 약사출신 후보자가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했다.

    장 의원은 지난 2일 공천심사위원회 면접과정에서 박경철 위원이 “커피와 박카스 중 카페인이 함량이 어느 것이 더 많은지 대답하라”고 다그쳤으며 “일반의약품 슈퍼판매를 허용하지 않는 것은 약사들의 이기주의가 아니냐”고 따졌다고 말했다.

    불과 수분에 불과한 면접에서 박경철 위원은 그 자신이 속했던 대한의사협회의 정책현안에 대한 질문에 집중해, 국민보건의료 향상에 애써온 장 의원을 약사들의 대변자에 불과한 것처럼 비쳐지도록 했다는 것. 장 의원은 여약사회장 출신이다.

    한편 박경철 이사는 의협에서 활동하기 이전부터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경제계에서 잘 알려진 인물로 현 의협 집행부 초기부터 대변인직을 맡은 바 있다.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입력 : 2008.03.12 15:28

  • 개원초보 2008.03.12 18:00:01

    박선생님! 화이팅
    의사를 대하는 일반인의 눈은 차갑습니다. 뭘 잘못해서라기 보다는 의사이기 때문에 편견이 많습니다. 그런데 의사들이 의사들에 대한 편견...
    나와 다르다는 것은 실눈뜨고 볼 일도 아니며 격려하고 부러워 할 줄 알아야합니다. 어쩌면 박선생님을 시기하는 일부 의사들은 부러워 하는 맘이 더 크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의사들의 정치화에 가장 걸림돌이 하나의 줄만 잡고 그것이 다인줄 아는 것입니다. 의사들은 친여도 친야도 그 어느것도 되어서는 않됩니다. 의사들이 맘편하게 진료실을 지킬수 있고 환자와의 편견을 줄이는 곳에 몸과 마음을 바쳐야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왜 민주당에 공천심사위원을 하는지 의문 스러웠지만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의사세력의 정치화를 이룰려면 여러개의 동화줄을 잡아야만 할것 같습니다. 그일을 일반의사회운이 못한다면 사회적으로 알려진 의사회원의 힘을 빌리는것도 좋은 방법아닐까요?

  • jang 2008.03.12 17:25:27

    그래도 이사직은 유지를 해야
    1)의사 사회에 균형잡힌 목소리를 인정해야 발전할수 있다
    2)어쨌든 이 사람은 사회적으로 인정 받지 않았는가?
    3)박경철은 지난번에도 완전히 떠난다고 했는데 잡은 것으로 안다

  • 이런 ㅆㅂ 2008.03.12 14:14:29

    시도의사회장 이 인간들 뭐야?
    왜 잘하고 있는 사람한테 지랄이야?

    니들 의견이 민의라고 생각하나 보지?

    강남구 회장인가 하는 인간

    어디 한번 너는 얼마나 잘하는지 보자.

    박경철 선생 발끝도 못따라갈 새끼들이

    남 비방하고 끌어내리기만 선수로구나.

    이러니 발전이 없지.

    병신같은 ㅅㄲ들.

    아우 열받어.

  • 헌놈 2008.03.12 11:47:45

    의사회비 내지마세요. 내가 낸 돈으로 이런 싸지 없는 짓하니까
    이 ㅆ ㅂ ㄴ 들아. ㄱ ㅅ ㄲ 들

  • 팡세 2008.03.12 11:34:16

    남 끌어 내리는데 선수인 의사들 입 다물라!
    뒤에서 자신은 아무 도움도 안되면서 앞에서 활동하는 이를 헐뜯고 끌어 내린는데만 익숙한 의사들은 제발 죽은 듯이 가만 있어라!
    박경철선생은 개의치 마시고 열심히 활동하세요. 응원하는 의사가 더 많아요.

  • 박용묘 2008.03.12 10:38:56

    이해할수 없어요.
    긴글도 되는군요.
    이번 지역의사회의 결정이 순수하게 정치적중립차원에서 나온 고뇌의 결정인지, 아니면 친한나라당의 성향에서 나온건지는 분명히 알순 없지만, 우리입장에서는 어느당에 쏠림현상을 보이기보다는 국민과 의사를 위한 정책을 내놓는 당이나 정치인을 후원해야죠. 국민은 해하고 의사만을 위한 정책에 대해서도 반대하고 둘다를 해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일어나야겠죠. 일부의사는 왜 하필이면 민주당공심위냐에 대해 반감을 가지시는 분이 계신데, 한나라당이라고 의사만을 위한 정책을 내놓을수도 없고 그건 단지 우리의 희망사항일뿐이죠. 당이 중요한게 아니라 누가 국민과 의사를 위한 정책을 내놓느냐 그게 중요한겁니다. 여기에 정치적 중립이 있는겁니다.

  • 스마일 2008.03.12 10:10:46

    내캉 바라던대로 됐다카이
    경철이 수고했다.
    우리가 남이가?
    인재는 많다카이.
    쪼매한 더하고 내려온나.
    지금 한나라당 공천을 봐라.
    전쟁에서 이기고나면 전리품을 승자위주로 나눠가지는게 인지상정이라.
    괜히 어먼데가서 용쓰다가 욕먹지말고
    후딱 내려온나.
    지금은 누려야할 때이지 동정할 때가 아닌기라.

  • 끌끌 2008.03.12 10:02:46

    지역 의사회 죄다 해체하라
    회원들은 위해 아무 일도 할 능력이 없고
    그저 공권력에 굽실거리는 기회주의자들이
    어디서 회비 얘기는 꺼내며
    어디서 감히 명함에 감투찍어 행세하는가?

    니들이 불합리한 정책에 대해 시기적절하게
    입뻥긋하는 모습은 본 적이 없다.
    다 합쳐도 박경철 하나만도 못한 것들이.. 이뭐병.

    죄다 해체해라.

  • 최영하 2008.03.12 09:56:55

    자식과 손자들 얼굴을 보면서-장복심 약사께
    한 번만 진심으로 생각해 봐 주기를 바랍니다.
    전국구(비례대표=직능대표, 즉 약사회 대표)로 국회의원 되어서 그간 열심히 한 일이 진심으로 국민들을 위한건지 아니면 약사회의 이익을 위한 것인지.
    물론 약사회 대표로 나와 열심히 한 것은 인정합니다만 그게 약사회의 이익을 위한것이지 국민을 위한 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의사회 대표인 전국구 의원도 장복심 의원만큼만 활동해주면 좋겠단 바램입니다.)
    그러니 지역대표 공천에서 탈락한 건 억울해 마시고 다시 한번 비례대표로 나서면 될겁니다.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