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전공의 수련에 차질·권역응급 시설 확충에 재정적 부담까지 설상가상
전북대병원이 거듭된 악재로 먹구름이 잔뜩 끼었다. 더 문제는 앞으로 더 험난한 길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최근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전북대병원 전공의 폭행 사건에 대해 심각하다고 판단, 강도높은 전공의 감축이라는 패널티를 부과키로 했다.
당초 복지부가 수련병원 지정 취소까지 검토한 것에 비해서는 낮은 수위지만 대대적인 전공의 감축을 감행할 경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이번에 사건이 발생한 정형외과의 경우 내년도 전공의 수련에 상당한 차질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2017년도 전북대병원 정형외과 레지던트 1년차 정원은 총 3명.
연차별로 3명씩 근무시스템을 갖춘 상태에서 갑자기 정원이 미배정되거나 감축할 경우 2~4년차 전공의 업무 부담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모 대학병원 수련이사는 "전공의 정원 감축으로 레지던트 1년차 극심한 업무 로딩이 예상되기 때문에 전공의 모집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면서 "전공의 지원 미달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정형외과는 인기과라는 이유로 간신히 정원을 채울 수는 있겠지만 우수한 학생이 몰릴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전공의 폭행 사건의 여파는 수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더 문제는 지난해 터진 소아환자 사망사건에 따른 여파가 채 수습되기도 전에 이번 사건이 터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전북대병원은 전주 소아환자 사망 사건으로 권역응급센터 지정 취소된 이후 올해 조건부 재지정을 받았다.
복지부는 올해 의료공백을 우려해 권역응급센터 역할을 다시 부여하면서 2018년 12월 31일까지 권역응급의료센터 관련 평가지표 개선목표를 달성할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당시 문제점으로 지적된 개선대책을 이행하는 것 이외에 실질적인 응급의료 질 향상을 입증할 만한 성과를 도출해야 한다는 얘기다.
전북대병원은 권역응급센터 시설 확충 등 재발방지를 위해 150억원의 자체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 또한 전북대병원은 내년 8월 착공을 목표로 500병상 규모의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정적으로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악재가 겹친 전북대병원을 향한 의료계 시선도 곱지 않다.
모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권역응급센터 재발 방지를 위해 150억의 자체 예산을 쓴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소아환자 사망사건이나 전공의 폭행 사건은 소프트웨어에 문제인 만큼 시설 등 하드웨어를 보강한다고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병원 교수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소아환자 사망 사건과 이번 전공의 폭행 사건은 연속성 상에 있다고 본다"면서 "어쩌면 경직된 의국 분위기 속에서 의료사고는 예고된 게 아니었겠느냐"고 꼬집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문제 병원에 강도높은 패널티를 요구하면서 전공의 수련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대전협 기동훈 회장은 "이 같은 측면에서 수련병원에 부득이한 사정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동수련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최도자 의원실의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전북대병원 전공의 폭행 사건에 대해 심각하다고 판단, 강도높은 전공의 감축이라는 패널티를 부과키로 했다.
당초 복지부가 수련병원 지정 취소까지 검토한 것에 비해서는 낮은 수위지만 대대적인 전공의 감축을 감행할 경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이번에 사건이 발생한 정형외과의 경우 내년도 전공의 수련에 상당한 차질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2017년도 전북대병원 정형외과 레지던트 1년차 정원은 총 3명.
연차별로 3명씩 근무시스템을 갖춘 상태에서 갑자기 정원이 미배정되거나 감축할 경우 2~4년차 전공의 업무 부담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모 대학병원 수련이사는 "전공의 정원 감축으로 레지던트 1년차 극심한 업무 로딩이 예상되기 때문에 전공의 모집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면서 "전공의 지원 미달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정형외과는 인기과라는 이유로 간신히 정원을 채울 수는 있겠지만 우수한 학생이 몰릴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전공의 폭행 사건의 여파는 수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더 문제는 지난해 터진 소아환자 사망사건에 따른 여파가 채 수습되기도 전에 이번 사건이 터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전북대병원은 전주 소아환자 사망 사건으로 권역응급센터 지정 취소된 이후 올해 조건부 재지정을 받았다.
복지부는 올해 의료공백을 우려해 권역응급센터 역할을 다시 부여하면서 2018년 12월 31일까지 권역응급의료센터 관련 평가지표 개선목표를 달성할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당시 문제점으로 지적된 개선대책을 이행하는 것 이외에 실질적인 응급의료 질 향상을 입증할 만한 성과를 도출해야 한다는 얘기다.
전북대병원은 권역응급센터 시설 확충 등 재발방지를 위해 150억원의 자체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 또한 전북대병원은 내년 8월 착공을 목표로 500병상 규모의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정적으로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악재가 겹친 전북대병원을 향한 의료계 시선도 곱지 않다.
모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권역응급센터 재발 방지를 위해 150억의 자체 예산을 쓴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소아환자 사망사건이나 전공의 폭행 사건은 소프트웨어에 문제인 만큼 시설 등 하드웨어를 보강한다고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병원 교수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소아환자 사망 사건과 이번 전공의 폭행 사건은 연속성 상에 있다고 본다"면서 "어쩌면 경직된 의국 분위기 속에서 의료사고는 예고된 게 아니었겠느냐"고 꼬집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문제 병원에 강도높은 패널티를 요구하면서 전공의 수련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대전협 기동훈 회장은 "이 같은 측면에서 수련병원에 부득이한 사정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동수련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최도자 의원실의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