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술 환자 68% "비 전문의 수술 금지시켜야"

발행날짜: 2017-10-12 12:00:30
  • 성형외과의사회 설문 결과…64.4% "전문의 여부 몰랐다"

성형수술을 받은 환자 10명 중 6명은 성형외과 전문의인지 파악조차 못하고 수술에 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64%는 전문의와 비 전문의를 구분하지 못하고 수술을 받았으며 이에 대한 반감으로 77%는 비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대한성형외과의사회는 최근 성형외과를 방문한 환자 649명을 대상으로 성형외과 수술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10명 중 6명은 성형외과 전문의인지 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결과 성형수술을 시행하는 의사 중 전문의가 아닌 의사가 전문의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환자가 63%에 불과했던 것. 이를 알고 있는 환자는 37%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닌 의사에게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아예 비 전문의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비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전문의 여부를 알고 있느냐는 질문을 하자 132명(64.4%)가 몰랐다고 답한 것.

비 전문의라는 사실을 알고도 수술을 받았다는 응답은 35.6%에 그쳤다. 결국 성형외과 전문의와 비 전문의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사실을 알고 난 뒤의 환자들의 반응은 완전히 달랐다. 앞으로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닌 비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겠냐고 묻자 77.7%가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

나머지 환자 중 18.5%는 경우에 따라 비 전문의에게 받을 수도 있다고 답했고 2.8%는 전문의든 비 전문의든 상관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성형외과 비 전문의들에 대한 일정 부분의 반감도 드러냈다. 비 전문의는 성형수술을 금지시켜야 한다는 답변도 나온 것이다.

성형외과 비 전문의가 성형수술을 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묻자 무려 439명(68%)가 금지했으면 좋겠다는 응답을 했다.

반면 비 전문의도 성형수술을 하는 것이 상관없다고 답한 환자는 단 4%에 불과했다.

따라서 이들은 성형외과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의료사고와 안정성(36.5%)를 가장 먼저 꼽았으며 비 전문의의 성형수술(21.3%), 무분별한 광고(19.9%)로 뒤를 이었다.

성형외과의사회 관계자는 "비 전문의의 성형수술이 만연한 가운데 의사의 자격이나 전문과목에 대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며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라도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