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 시한부 환자에 새 삶 선물한 화순전남대병원

발행날짜: 2018-01-01 20:38:37
  • 고양석·송상윤·배우균 교수, 간·폐로 퍼진 종양 수술

'2개월 시한부' 판정을 받은 20대 여성 환자를 화순전남대병원 의료진의 치료로 긍정적 결과를 얻게 돼 눈길을 끌고 있다.

광주에 거주하는 김 모(20)씨는 생리통이 심해 지난 2016년 10월 서울 한 대형병원을 찾았다가 '난소 미성숙 기형종'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그해 12월 난소의 종양 제거수술을 받았으나, 조직검사를 통해 간 부위에 혹이 있음을 알게 됐다.

지난해 6월 호흡곤란이 심해지자 김 씨는 다시 서울의 그 대형병원을 찾았다. 종양이 커져 간과 오른쪽 폐로 전이된 것. 김 씨는 증상이 심각해 수술하기엔 이미 때가 늦었다는 말을 들어야 했다. 항암치료를 받아도 증세는 호전되지 않았다.

김 씨는 서울에서 치료를 포기하고 민간요법에 의존하며 하루하루를 보내야만 했다.

그러다 지난해 6월, 김씨는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화순전남대병원을 찾았다. 종양내과 배우균 교수가 항암치료를 시작했지만 수개월간에 걸친 치료에도 김 씨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다.

고양석(앞줄 왼쪽), 배우균(앞줄 오른쪽), 김희준(뒷줄 왼쪽), 송상윤(뒷줄 오른쪽) 교수가 김씨에 관한 진료자료를 보며 의견을 나누고 있다.
배 교수는 김씨 치료를 위해선 꼭 수술을 받아야만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그러기엔 위험성이 높고 사망 가능성도 있었다.

배 교수는 간담췌외과 고양석 교수, 흉부외과 송상윤 교수와 김 씨의 수술에 관해 상의했다. 두 교수 모두 선뜻 수술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김씨 부모의 거듭된 호소는 교수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세 교수는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거듭했다. 폐와 간을 동시에 수술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 과정에서 김씨가 호흡곤란과 과다출혈로 사망할 위험성도 높았다.

"실낱같은 희망이지만,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길이라면 최선을 다해보자"고 손을 맞잡았다. 두 교수의 과감한 결심에 흉부외과 윤주식 교수와 전남대병원 간담췌외과 김희준 교수도 수술에 합류하기로 했다. 수술은 장장 16시간 동안 이어졌다.

수술 후 김 씨 회복속도가 빨라 1주일만에 일반병실로 옮겨졌다.

퇴원을 앞둔 김 씨는 "유서를 써둔 채 수술대에 올랐었다"며 "새 생명을 선물해준 의료진에게 뭐라 감사드려야 할지 모르겠다. 새해에는 뭘 할까 계획을 짜느라 부푼 마음"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