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심장질환 예후 MRI 맵핑 기술로 예측

이창진
발행날짜: 2018-02-27 10:48:46
  • 이승표·이희선 교수팀, 환자 127명 추적관찰…국제저널 발표

국내 의료진이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MRI로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했다.

왼쪽부터 이승표 교수, 이희선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 이희선 교수팀은 27일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의 심장 MRI 정보에 T1맵핑을 적용해 2년 6개월간 추적관찰한 결과를 발표했다.

MRI는 강한 자기장 형성 시 인체에서 되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해 영상을 얻은 장비로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은 섬유화, 염증, 경색 등으로 주변조직 상태가 좋지 못하면 늘어나고, 반대일 경우 줄어든다.

이때의 시간을 T1값이라고 하고, T1값을 색상으로 표현한 영상이 T1맵핑이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내원환자 127명을 분석했다.

이 결과, 심근 T1값이 높을수록 환자의 예후가 좋지 못했다. 값이 가장 높은 군(심근 섬유화가 가장 심함) 42.9%가 사망과 심부전 악화로 응급입원을 경험했다. 반면, 값이 가장 낮은 군은 2.4%에 그쳤다.

127명 환자 중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받은 환자 87명 분석결과, 수술 전 심근 T1값이 가장 높은 군에서 수술 이후 사망 전 심부전 악화로 인한 응급입원이 4건 발생했다.

반면, 값이 낮거나 중간인 군은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승표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질환 상태와 진행속도, 환자의 증상과 동반질환 등을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 이번 연구는 예후 예측을 가능케 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대동맥판막협착증 남성 환자는 5033명으로 2011년 2794명 이후 매년 12.5% 늘고 있다. 여성도 같은 기간 3044명에서 5648명으로 연간 13.2% 증가했다.

이희석 교수(강남센터)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 원인으로 예방하기 쉽지 않으며, 고령사회에서 환자는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가슴통증과 호흡곤란, 두근거림, 실신 등 증상이 나타나면 순환기내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미국심장학회 공식 자매저널인 'JACC Cardiovasc Imaging' 최신호에 게재됐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