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 사업화 첨병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개소

정희석
발행날짜: 2018-03-20 17:09:23
  • 예비창업부터 글로벌시장 진출까지 단계별 맞춤형 지원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개소식에 참석한 내외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보건산업 ‘제2의 창업 붐’ 확산 전진 기지 역할을 수행할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가 20일 서울역 인근 연세봉래빌딩 3층에서 개소했다.

센터는 보건산업분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기술사업화 할 수 있도록 전주기적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한다.

더불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특허 ▲임상 ▲투자 ▲경영 등과 관련한 다수 협력사와 약 400명의 외부전문가가 참여한다.

센터는 예비창업기업으로 시작해 글로벌기업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복지부 박능후 장관이 개소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먼저 예비창업기업부터 3년 미만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초기(예비)창업자가 보유한 우수 아이디어 제품 시현을 위해 시제품 제작비용과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등을 지원한다.

또 초기 창업기업과 3~7년 성장기업에는 창업기업 성장을 위한 특허 구축과 제품 개발에 힘을 보탠다.

이를 위해 ▲유통·수출·제품 개선·투자 등 소요비용 ▲특허 컨설팅(IP-R&D·해외 특허 진입 컨설팅) ▲제품 인허가 컨설팅 ▲의료기기 시제품 테스트를 위한 소요비용을 지원한다.

이어 성장기업에는 창업기업의 시장 진출을 위해 단계별 컨설팅과 의료기기 성능개선을 위한 소요비용 지원 등 전주기 컨설팅 지원에 나선다.

박능후 장관이 창업기업 간담회에서 예비창업기업 대표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
이밖에 센터는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해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의료기기 신흥국 진출비용 ▲해외 의약품 수출품목 생산기반 선진화 비용 ▲의약품 WHO PQ 인증 획득 비용 ▲수출전략국 현지파트너 발굴 비용 ▲현지 수입·유통 법인 설립 비용 ▲제약사 글로벌 R&D, 해외 인허가, 글로벌 라이선싱 등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한편, 이날 센터 개소식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창업기업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듣고 창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창업기업 대표들은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벤처투자 확대와 창업기업에 특화된 연구개발(R&D) 과제 필요성, 인허가 관련 규제완화 등을 건의했다.

의료기기·AI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