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응급실 당직 동행취재…인력공백 폭탄 돌리기
실망감만 커져가는 의사 생활 "이것이 선망의 대상인가"
|기획| 전공의 무더기 이탈, 내과 병동이 위험하다"응급실 당직 메일을 보는 순간 '이젠 내 차례구나' 싶었어요. 환자가 많을 것 같아 걱정이에요. 전공의 시절 때 해보고 처음이니까 8년 만인데…”
2020년 1월 일선 수련병원 내과 병동은 그야말로 비상이다. 내과 3년제 첫 적용사례로 전공의 3, 4년차가 한꺼번에 전문의 고시 준비에 돌입하면서 인력공백이 극에 달한 것. 이에 <메디칼타임즈>는 전국 수련병원 내과 병동이 놓인 현실을 짚어보고, 진료 현장을 직접 찾아가 봤다. <편집자주>
<상> 대책 없는 인력공백에 벼랑 끝에선 수련병원들
<중> 개선 기약 없는 내과, 구멍 뚫린 의료현장을 가다
지난 15일 오전 경기도 한 대학병원 1층 로비에서 만난 배수진(가명) 진료 조교수는 황당하고 착잡한 심정을 숨기지 못했다.
전공의특별법 여파로 내과 전공의 수련이 3년제로 전환된 이 후 2020년 1월 3, 4년차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전문의 시험 준비에 들어간 탓에 당장 응급실 당직을 설 인력조차 마땅치 않았다. 결국 응급실 당직 근무를 설 일이 없는 내분비내과 교수까지 고통 분담하기에 이르렀다.
메디칼타임즈는 배 진료조교수의 응급실 당직을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함께 하며 내과 3년제 전환에 따른 대책 미비로 인해 벌어지고 있는 일선 의료현장의 실상을 따라가 봤다.
'알아서 해결하라는 식'에 분통 터진 의료진
이 날 배 진료 조교수는 응급실 오전 당번.
근무를 서게 될 응급실 전문의 대기실을 찾아가자 함께 근무를 설 임상강사(펠로우)와 PA 간호사, 응급의학과 전문의 2명이 배 진료 조교수를 맞이했다. 내과의 경우 응급실 당직은 펠로우와 교수가 한 조를 이뤄 5개조로 나눠 운영되는데 1년차 전공의가 새롭게 들어올 3월까지 이 생활을 해야 할 형편이다.
"두 번째 응급실 당직 근무를 서는 것인데, 사실 오전 당번은 그나마 양반이에요. 1시에 오후 당직 근무자와 교대를 하게 되는데 오후에 환자들이 특히 더 오거든요."
오전 당번이라는 것을 억지 위안으로 삼은 배 조교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내분비내과 세부 전공을 이수한 뒤 8년 만에 이 같은 현실과 마주한 것이다. 전공의특별법과 내과 3년제 전환 결정 후 설마 이 같은 현실이 오겠거니 했는데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이 '하늘의 별 따기' 수준으로 어려워지자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다.
실제로 취재 결과, 해당 병원은 입원전담전문의 5명을 채용하고자 연봉 2억 5천만원을 제시했지만, 아무도 이에 응답하지 않았다. 결국 3, 4년차 내과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빠져 나간 자리를 교수들이 대신하게 됐다. 인력공백 해결의 몫은 병원 운영진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지만 각 과 교수들이게 알아서 하라는 식의 '폭탄 돌리기'가 돼 버렸다.
"올해는 어려운 시기를 다 같이 이겨내 보자는 의미로 당직을 서고 있는데 문제는 입원전담전문의가 없으면 내년 이 시기에 똑같이 당직을 서야 할 형편이네요. 전공의 시절 이른바 144시간 풀(Full) 당직을 서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배 조교수의 말이 끝나자 자신도 억울한 듯 옆에 있던 펠로우가 말을 거든다.
"전공의특별법이 제가 전공의 3년차 때부터 적용됐어요. 1, 2년차 때 100일 당직 등 선 후 3년차부터 '아 이제 살겠구나' 싶었는데 법 때문에 또 서야 했거든요. '끼인 세대'라고 해야 하는데 솔직히 응급실 당직까지 서야 하니 억울해요."
떨어지는 의료 질 "환자 콜이 두렵다"
신세 한탄을 늘어놓으며 논문과 컨퍼런스 자료를 확인하던 순간 갑작스럽게 3명의 응급환자가 들이닥쳤다.
이 중에서도 배 조교수를 당황스럽게 한 것은 지난 11월 간이식을 받은 후 응급실을 찾은 환자였다. 간이식 환자는 갑작스럽게 복수가 차 병원 응급실을 찾은 것인데 배 조교수는 응급실에 상주하는 응급의학과와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에 들어간 끝에 외과에 콜을 하기로 결정했다.
"환자의 진료이력을 확인 한 후 응급수술이 필요한 지 여부를 살펴야 해요. 문제는 제가 전담하는 진료과목이 아닌 터라 부담스럽고 걱정된다는 거죠. 간이식 환자는 GS가 빠르게 결정할 수 있을 것 같아 콜을 하기로 결정했는데 이 과정 자체가 혼란스럽기 그지없어요."
간이식 환자의 응급수술을 결정한 뒤 얼마 되지 않아 황달 증세가 있는 간염환자 등이 추가로 응급실을 찾았다. 이들을 진료하고 있으니 얼마 되지 않아 교대시간이 가까워졌다. 다음 당번인 종양내과 조교수가 '응급내과' 교과서를 들고 당직실을 찾아 배 조교수와 반갑게 인사를 나눴다.
3년 선배인 종양내과 조교수 자신도 응급실 당직은 전공의 이 후 11년 만에 처음이라고.
"벼랑 끝으로 내몰린 것이나 마찬가지에요. 일은 그대로인데 인력은 한꺼번에 빠져 나갔으니까요. 저는 이번에 처음으로 응급실 당직을 서는 것이라 걱정이 돼서 교대 시간보다 먼저 와서 상황을 파악하려고 왔어요."
종양내과 조교수의 이야기를 듣던 신경과 진료교수는 이 같은 현실에 분통이 터진다며 기자에게 불만을 늘어놓는다. 마침 이틀 전 응급실에서 함께 환자를 돌보던 내과 진료교수는 개인 사정으로 사직해 신경과 진료교수의 업무도 배로 늘어났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내과와 응급의학과가 컨퍼런스를 열고 해법을 논의하자고 하는데, 사실 이 문제가 진료 과목 간 논의한다고 해결된 문제인가요. 병원 별로 전문의 정원을 늘리던지 정부가 해법을 제시해야 하는데 모른척하고 외면만 하고 있자나요. 정말 화가 납니다."
실망만 커지는 의사생활 "이게 선망의 대상인가"
응급실을 찾은 환자를 진료하고 오후 당번에게 인수인계를 하는 사이 어느덧 오전 당직을 마칠 시간.
인수인계가 끝내자 오후 1시가 훌쩍 넘어 오후 외래시간인 1시 30분이 가까워져 끼니를 해결할 시간조차 부족한 상황. 배 조교수는 끼니 해결은 포기하고 오후에 봐야 할 외래환자 리스트를 확인한다.
보통 종일 외래 진료를 보게 되면 110명 정도의 환자를 보게 되는데 오후 외래 진료이기 때문에 60명 안팎의 환자들의 진료가 예약돼 있다.
"신규환자가 있으면 외래진료가 더 힘들어요. 체크를 해보니 신규 환자보다는 재진환자가 더 많은 것 같은데 오전에 응급실 당직을 서느라 제대로 확인을 못했어요. 이 생활을 2월 말까지 5번을 더 해야 해요."
이 때문에 교수들의 핵심 업무인 연구 업무는 뒷전으로 밀린 지 오래라고.
"진료와 실습, 강의는 뺄 수 없는 의대 교수의 업무잖아요. 당직 업무가 늘어나면서 결국에는 시간을 뺄 수 있는 건 연구 밖에 없어요.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뒤로 밀리는 건 그것뿐이에요. 당장 2월에 의대생 PK실습(Poly-Clinic)이 예정돼 있어서 정신없을 것 같아요."
당직을 마치고 외래 진료실로 이동하던 배 조교수는 오전 동안 끝없이 울려댔던 카카오톡 알림을 확인한다. 의대 동기간의 단체톡 방에는 최근 가장 핫한 이슈인 이국종 교수의 기사가 대다수를 이뤘지만 간간히 신세한탄을 하는 동기들의 하소연이 계속되는데 글을 읽으며 기자와 인사를 나눴다.
"동기들 단체 톡방을 보면 신변잡기가 주를 이루지만 넋두리가 더 많아졌어요. 사회에서는 아직 의사를 공부 잘하는 수제로 선망이 대상이잖아요. 하지만 직접 의사가 돼 이 생활을 한다면 많이 실망할 것 같아요. 사회와 의료계 간의 괴리가 커지는 것 같다 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