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조부모, 자녀 전파-정은경 본부장 "가족접촉자 결핵 예방 강화"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9일 결핵 환자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에 대한 가족 접촉자 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중앙대병원 최재철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결핵환자 가족 접촉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결핵은 기침, 대화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매일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부모, 형제‧자매, 배우자, 자녀 등)에게 결핵균을 전파하기 쉽다.
가족접촉자는 결핵 발병 위험이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 약 17배 높은 고위험군으로 접촉자 조사를 통해 결핵 전파 차단이 필요하다.
연구대상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자 13만 8335명 중 13만 7702명(99.5%)이 결핵 검사를 받아 1180명(0.9%)의 결핵 환자가 확인됐으며,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하지 않은 대상자 5만 3565명 중에는 544명(1.0%)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다.
잠복결핵감염 검사의 경우 수검자 8만 2957명 중 2만 320명(28%)이 양성 진단을 받았고, 6367명(27.4%)이 항결핵제 치료를 받아 그 중 5357명(84.1%)이 치료를 완료했다.
가족접촉자의 역학적 특성 분석 결과 △ 검진 대상자는 남성(5만 7424명, 41.5%)보다 여성(8만 911명, 58.5%)이 많았으며 △ 지표환자는 남성(4만 1130명, 60.8%)이 여성(2만 6508명, 39.2%)에 비해 많았다.
검진 대상자와 지표환자의 관계는 △ 자녀(자녀, 손자‧손녀) 5만 9689명(43.2%), △ 배우자 4만 1333명(29.9%), △ 기타동거인(형제‧자매, 친척, 역학) 2만 545명(14.9%), △ 부모(조부모, 부, 모, 조모, 조부) 1만 6768명(12%) 순이다.
결핵 감염 고위험군인 가족 간 전파경로가 주로 부모 및 조부모로부터 자녀로 진행됨을 확인했다.
가족접촉자 검진의 효과 분석 결과,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자 중 검진을 받은 경우 미 검진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을 약 60%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가족접촉자 검진을 통해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된 경우 치료를 완료하면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74% 결핵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결핵 발병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가족접촉자 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검진 및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한 경우에 비해 6.11배 높았다.
정은경 본부장은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에 대한 결핵 예방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면서 "주기적으로 접촉한 동거인을 가족접촉자 대상에 추가하는 조사 대상 확대를 통해 더욱 적극적인 가족접촉자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결핵 환자를 조기에 발견 치료하여 결핵 전파를 최소화하고, 잠복결핵감염자를 발견 치료하여 결핵 발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연구는 중앙대병원 최재철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결핵환자 가족 접촉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결핵은 기침, 대화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매일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부모, 형제‧자매, 배우자, 자녀 등)에게 결핵균을 전파하기 쉽다.
가족접촉자는 결핵 발병 위험이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 약 17배 높은 고위험군으로 접촉자 조사를 통해 결핵 전파 차단이 필요하다.
연구대상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자 13만 8335명 중 13만 7702명(99.5%)이 결핵 검사를 받아 1180명(0.9%)의 결핵 환자가 확인됐으며,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하지 않은 대상자 5만 3565명 중에는 544명(1.0%)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다.
잠복결핵감염 검사의 경우 수검자 8만 2957명 중 2만 320명(28%)이 양성 진단을 받았고, 6367명(27.4%)이 항결핵제 치료를 받아 그 중 5357명(84.1%)이 치료를 완료했다.
가족접촉자의 역학적 특성 분석 결과 △ 검진 대상자는 남성(5만 7424명, 41.5%)보다 여성(8만 911명, 58.5%)이 많았으며 △ 지표환자는 남성(4만 1130명, 60.8%)이 여성(2만 6508명, 39.2%)에 비해 많았다.
검진 대상자와 지표환자의 관계는 △ 자녀(자녀, 손자‧손녀) 5만 9689명(43.2%), △ 배우자 4만 1333명(29.9%), △ 기타동거인(형제‧자매, 친척, 역학) 2만 545명(14.9%), △ 부모(조부모, 부, 모, 조모, 조부) 1만 6768명(12%) 순이다.
결핵 감염 고위험군인 가족 간 전파경로가 주로 부모 및 조부모로부터 자녀로 진행됨을 확인했다.
가족접촉자 검진의 효과 분석 결과,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자 중 검진을 받은 경우 미 검진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을 약 60%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가족접촉자 검진을 통해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된 경우 치료를 완료하면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74% 결핵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결핵 발병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가족접촉자 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검진 및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한 경우에 비해 6.11배 높았다.
정은경 본부장은 "결핵 발병 위험이 높은 결핵 환자의 가족접촉자에 대한 결핵 예방관리 정책을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면서 "주기적으로 접촉한 동거인을 가족접촉자 대상에 추가하는 조사 대상 확대를 통해 더욱 적극적인 가족접촉자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결핵 환자를 조기에 발견 치료하여 결핵 전파를 최소화하고, 잠복결핵감염자를 발견 치료하여 결핵 발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