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백신 국산화 어디까지 왔나? 협의체 회의서 점검

발행날짜: 2022-05-31 12:10:22
  • 관련 기업들 기술 자립 가속화 위한 인센티브 방안 건의
    복지부-산업부 "다각도 지원 방안 강구하겠다" 의지 밝혀

정부가 바이오·백신 분야 mRNA 핵심소재, 바이오리액터, 일회용 백 등 소부장 산업을 국산화하기 위한 협의체 회의를 시작했다.

복지부와 산업부는 21일 바이오·백신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회의를 연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오후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바이오·백신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는 지난 2020년 9월, 협의체를 발족한 이후 그동안의 성과를 점검하기 위한 자리.

복지부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SK그룹, 롯데그룹, 셀트리온 등 주요 대기업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등을 위한 국내 공장을 증설할 예정이다.

소부장 관련 기업들의 행보에 보탬이 되고자 글로벌 원부자재 기업 투자유치와 더불어 핵심 품목 기술 국산화를 중점적으로 추진 중이다.

해당 협의체는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민관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게 복지부의 자평이다.

실제로 오늘 발표에 나선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산에 필요한 소부장 핵심 품목 국산화를 위해 국내 중소기업에게 R&D 컨설팅을 제공 중이다.

이와 더불어 삼성바이오에피스도 5월 16일부터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테스트 프로그램’을 런칭해 국내 소부장 기업에게 제품 테스트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줄 예정이다.

또한 에스티팜은 국내 기업중 최초로 mRNA 백신 원료부터 완제 생산까지 가능한 생산시설을 확보했는가 하면, mRNA 핵심 소재인 지질나노입자(LNP)는 북미 소재 바이오기업에 공급을 시작했다.

이날 한국바이오협회는 회의에서 기업 수요 조사를 토대로 바이오 소부장 기술 자립 가속화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을 건의할 예정이다.

수요기업들의 국산화 노력에 대한 세제 지원, 규제기관의 각종 인·허가 지원, 정부 R&D 가점부여, 정부 포상 등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이어 공급기업들을 위해 수요기업과의 교류, 정부 R&D 확대, 해외 인증 및 국내외 마케팅 등 지원을 건의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산업부 주영준 실장은 "건의사항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여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복지부 이강호 단장은 "바이오‧백신 소부장 기업들의 국산화 제품 개발부터 해외 파트너십과 연계한 글로벌 수요기업과의 매치메이킹 지원까지 다각도의 지원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