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관련 유튜브 영상 30% "검증되지 않은 잘못된 정보"

발행날짜: 2022-11-28 11:54:59
  • 세종충남대 권정혜 교수, 대체치료 자가처방 동영상 700여개 분석
    개 구충제 '펜벤다졸' 영상 지속 확산…"보건당국 감시시스템 필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암 관련 콘텐츠 30%가 잘못된 정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혈액종양내과 권정혜 교수.

세종충남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권정혜 교수팀은 28일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 암 관련 보완대책요법 콘텐츠 3분의 1은 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잘못된 정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잘못된 암 정보의 사회적 메커니즘 이해 유튜브 확산과 교훈, 정보병학 연구' 연구논문을 모바일 헬스 분야 최고 학술지인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신호에 게재했다.

권 교수팀은 유튜브 잘못된 암 관련 정보의 확산 구조 파악을 위해 암 대체 치료제로 논란을 빚은 개 구충제 '펜벤다졸' 자가처방 유튜브 동영상 702개(227개 채널)를 선별했다.

이후 2019년 9월부터 2020년 9월까지 1년간 업로드 된 조회 수 5만회 이상 동영상 90개(중복추천 제외)를 추출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펜벤다졸을 암 치료제로 사용하는 자가투여 동영상이 지속해 업로드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펜벤다졸 추천 콘텐츠 네트워크는 암 대체 치료제로 펜벤다졸에 대한 시청자들의 믿음을 높이는 잘못된 인프라로 작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환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건강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고 이를 토대로 치료 결정을 내리고 제공자-환자 상호작용을 변경하는 데 있어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현상도 찾아냈다.

펜벤다졸 효능이 의학적으로 증명된 근거가 없지만 환자들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의 동영상 영향으로 적절한 치료 지연 및 현재 처방된 치료 거부 등 부작용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어 잘못된 정보 중 76.9%는 유해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보건당국의 감시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정혜 교수는 "소셜 미디어에서 암과 관련된 잘못된 정보를 감시하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의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확한 정보 전달에 있어 무엇을 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사이의 지식 격차를 좁히기 위해 시도한 만큼 정책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캠페인 또는 환자나 보호자 등의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재정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

관련기사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