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영광 다시 한번" 바이오플러스 몰려든 기업들

발행날짜: 2024-07-12 05:34:00
  • 바이오플러스 2024, 450개 부스 마련 속 '소부장' 업체 주목
    부스 참여 기업 제품 직접 시연 차별점…"디지털헬스 융합 기대"

글로벌 시장에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K-바이오가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4(BIOPLUS-INTERPHEX KOREA 2024 이하 BIX)를 통해 또 다시 한번 그 성장성을 확인했다.

특히 올해 행사에서는 위탁개발생산(CDMO) 뿐 아니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디지털 헬스케어 등 헬스케어 전 분야를 아울러 업계 관계자들에게 폭넓은 인사이트를 제공했다는 평가다.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되는 BIX는 전세계 15개국에서 250개 기업의 총 450개 부스가 운영됐다.

동시에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에서의 신약 개발 트렌드와 국내 기업들의 개발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K-바이오' 위상과 시장 흐름 확인

'The World’s Most Tangible Bio-healthcare Convention'을 주제로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되는 BIX는 전 세계 15개국 250개 기업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3일간의 일정에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행사의 '꽃'이라고 여겨지는 전시장에서의 '기업 부스'는 어떨까.

글로벌 및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에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행사의 성장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다. 주최 측에 따르면, 25개 기업의 450개의 부스가 차려져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각각 다이아몬드, 골드 등급 스폰서로 행사에 참여했다.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행사의 '다이아몬드 스폰서'와 '골드 스폰서' 등급으로 참여한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다.

협회 회장사인 만큼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 스폰서'로 참여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경우 최근 글로벌 및 국내 허가를 통해 출시한 자사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홍보하는 데 주력했다.

여기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최초로 전시장 내 단독 부스를 설치했다. 올해 행사에서는 지속적으로 확대 중인 위탁생산(CMO) 역량과 신규 위탁개발(CDO) 기술 플랫폼 등한 층 강화된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을 적극 홍보했다.

특히 부스에는 LED 스크린과 월 그래픽을 통해 2032년까지 확보 예정인 세계 최대 규모의 생산능력(132만 4000리터), 위탁개발서비스의 차별화된 경쟁력과 함께 항체·약물 접합체(ADC)·메신저 리보핵산(mRNA) 등 확장된 포트폴리오를 소개하며 눈길을 끌었다.

여기에 론자 등 글로벌 바이오 위탁생산(CDMO) 기업들의 참여와 함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이 올해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 모습이다.

올해 행사에서는 글로벌 소부장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많은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는 평가다.

머크, 써모피셔, 싸토리우스 등 글로벌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은 '플레티넘' 혹은 '골드' 등급 스폰서로 행사장 메인 부스 자리를 차지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들 기업들은 자사 제품을 전시장에 직접 배치하며 행사 참여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여기에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기업들의 별도 부스까지 마련되는 등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사장에서 만난 한 의료기기업체 임원은 "참여 기업들의 면면을 살펴보니 생각 이상으로 의료기기 산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기업들의 참여가 상당하다"며 "올해 행사는 CDMO 기업들 보다는 바이오업체들에게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들이 주인공이 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소부장 기업들이 자사의 장비를 바이오 기업들에게 적극 홍보하는 것이 가장 주목도가 높았다"며 "장비를 쓰게 되면 소모품까지 자연스럽게 해당 기업의 제품을 써야 한다. CDMO 기업들의 참여가 이전에는 가장 높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글로벌 소부장 기업들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및 의료계의 임상연구 시장을 적극 공략하려는 것 같 같다"고 전했다.

국내 전통제약사들은 상대적으로 소규모 부스를 차린 반면, 이들과 관계된 바이오 기업들은 대규모 단독 부스를 마련했다.

아울러 유한양행과 대웅제약, 한미약품, 암젠, 삼진제약 등 국내‧외 전통 제약사들도 자체적인 부스를 마련했지만 상대적으로 소규모로 참여하는 대신 에스티젠바이오와 GC셀 등 관계 바이오사들이 대규모 단독 부스를 마련하며 적극적인 참여가 눈에 띠었다.

실제로 고한승 바이오협회장은 "통상 바이오 콘퍼런스를 가보면 별로 볼 게 없다는 평가가 있다"며 "차별점을 두기 위해 전시회에서 각 기업의 시제품과 기존 제품을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제품을 직접 사용하고 관련 설명을 들으면서 (기업 간) 협력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나면 일상으로 돌아갈 것으로 생각했는데 전문의(전공의) 파업(집단행동)으로 어려움이 있다"며 "곧 이 긴 터널의 끝이 보이기 시작하고 있으니 조금 더 인내하자"고 강조했다.

신약 개발에 '디지털 헬스'까지

또한 이번 행사에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들의 부스 참여와 함께 해당 주제로 세미나가 개최되는 등 '바이오 헬스'라는 새로운 융합 흐름을 확인 가능했다는 평가다.

올해는 디지털헬스 스페셜 파빌리온을 통해 해당 기업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동시에 디지털헬스 관련 세미나 개최로 융합 생태계 마련을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관련 주요 기업들을 위해 '스페셜 파빌리온' 부스를 마련해 참여를 이끌어냈으며,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세미나가 개최됐다.

바이오와 디지털 헬스케어를 융합, 새로운 창업 생태계의 변화를 진단하고, 임상현장 의료진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이 모색되는 한편,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를 전망하는 세미나가 개최되는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종사자들의 참여가 전보다 늘어난 모습.

이와 함께 제약‧바이오업게의 신약 개발 흐름 속에서 최근 주목 받는 분야 현황도 확인할 수 있었다.

GLP-1 계열의 당뇨 및 비만 치료제 국내 개발 현황은 물론이거니와 MASH(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 분야에 국내 기업의 개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세미나가 개최됐다.

디지털 헬스 관련 세미나 좌장을 맡은 대한디지털헬스학회 고상백 회장(원주 연세의대)은 "바이오 분야 중 하나로 디지털 헬스 영역이 들어갈 수 있다"며 "두 분야 보다는 하나의 분야로 보고 이를 융합해 하나의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