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LT-2i 만성신장질환 약물 자리잡나…1차 치료 권고

발행날짜: 2025-03-19 05:00:00
  • KDIGO, 28개 권고·141개 실천 사항 포함 개정 지침 공개
    "당뇨병 상태, GFR 수준 관계없이 신부전 입원 위험 낮춰"

국제신장병가이드라인기구 KDIGO(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가 당뇨병 유무에 상관없이 만성신장질환(CKD)에 대해 SGLT-2i를 1차 치료제로 권고했다.

국내에서도 제2형 당뇨병을 동반한 신장병에 대해 메트포르민과 SGLT-2i를 초기 치료로 제시하고 있지만 KDIGO는 당뇨병 유무에 관계없는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근거로 SGLT-2i 사용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

KDIGO는 이같은 주요 신장 질환 치료 개정 사항을 담은 '만성 신장 질환의 평가 및 관리' 개정안을 미국 내과학회 저널 내과학연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11일 공개했다(doi.org/10.7326/ANNALS-24-01926).

전체 지침은 28개의 권고 사항과 141개의 실천 사항이 포함했고, 주요 변화로는 사구체 여과율 평가를 위해 시스타틴 C 기반 평가, 신부전을 예측하기 위한 개별화된 위험 기반 접근 방식으로의 전환, 당뇨병 유무에 관계없이 CKD 환자를 위한 SGLT-2i 1차 치료 등이다.

제2형 당뇨병과 CKD가 동반된 환자의 약제 치료는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신장 보호와 심혈관계 보호를 고려해 접근한다.

최근 진료 지침의 경향은 SGLT-2i와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중심으로 ▲eGFR이 30 mL/min/1.73㎡ 이상이면 메트포르민 유지 ▲신장 보호 효과와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를 위한 SGLT-2i 사용(eGFR 20 mL/min/1.73㎡ 이상이면 사용 권장) ▲SGLT-2i 사용이 어렵거나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 GLP-1 RA 사용이다.

국제신장병가이드라인기구 KDIGO의 신규 가이드라인. 당뇨병 유무에 상관없이 CKD 환자에 대해 SGLT-2i를 1차 치료제로 권고했다.

특히 당뇨병 약제로 개발된 SGLT-2i는 연구를 거듭하면서 신장 보호 효과와 심혈관 보호 효과가 확인되면서 당뇨병이 없는 CKD 환자에게까지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다.

KDIGO는 "여러 대규모 위약 대조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SGLT-2i는 당뇨병 상태, GFR 수준 또는 신장 질환의 원인에 관계없이 신부전, 급성 신장 손상 및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이 명확하게 밝혀졌다"며 "CKD 유무에 상관없이 심혈관 사망 및 심근경색 위험을 적당히 줄여주고 이는 13건의 임상시험을 포함한 메타분석에 요약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SGLT-2i에 배정된 사람들은 당뇨병 상태에 관계없이 신장 질환 진행 위험이 37% 감소하고 급성 신장 손상 위험이 23% 감소했다"며 "강력한 증거를 바탕으로 당뇨병이 없는 CKD 환자에도 SGLT-2i를 사용하도록 보다 포괄적인 권고 사항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eGFR이 20~45mL/min/1.73㎡이고 uACR이 200 mg/g 미만(20 mg/mmol)인 경우 SGLT-2i를 사용하고, 일단 투약이 시작되면 eGFR이 20 mL/min/1.73㎡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신장대체요법을 하지 않는 한 투약을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게 KDIGO의 판단.

한편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사구체여과율(eGFR) 추정에 기존의 크레아티닌 단독 대신 시스타틴 C와 조합이 필요하다는 권고도 나왔다.

크레아티닌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CKD 진행 후 수치가 상승하는 한계가 있어 바이오마커 시스타틴 C 지표를 섞어 보완해야 더 정확하다는 것.

KDIGO는 "CKD 위험이 있는 성인의 경우 크레아티닌 기반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cr)을 사용하다"며 "다만 시스타틴 C가 있는 경우, GFR 범주는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 C의 조합(eGFRCR-cys)을 통해 추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KDIGO는 "시스타틴 C 검사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이 들지만 오진을 줄이고 약물 오류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궁극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SGLT-2i의 투약 비용 역시 CKD 진행의 지연 또는 회피와 신장 결과의 이점으로 상쇄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