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익 교수, 약제서비스 질 향상 강조
서울의대 김용익 교수가 의약분업을 통한 국민건강의 제고를 위해서 GPP(Good Pharmacy Practice) 도입 등 약제서비스 강화가 절실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김용익 교수는 22일 숙명여대에서 열린 ‘우수약사실무기준’ 공청회 특별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약제서비스 강화를 통한 의약품 오남용, 약물 부작용 사례를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먼저 “의약분업이 시행된 후 의약품 처방 품목수, 항생제 처방건수 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분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 고가약 처방의 증가로 약제비의 비중이 분업 이후 오히려 증가하고 ▲일반의약품 판매에 대한 관리 체계도 미비할 뿐더러 ▲병원약사의 비율이 외국의 1/3수준으로 처방검토와 복약지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 등 약제서비스에서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다.
이에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에게 제공하는 약제서비스의 표준을 만드는 GPP의 도입은 약제비의 절감, 의료의 질 향상을 넘어 의약분업을 완성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입원환자에게 적용되는 GPP내용에는 조제관리, 의약품 정보관리, 임상약제서비스의 강화 등이 뒤따라야 하며 외래환자에게는 복약지도 실무기준 및 모니터링, 일반의약품 판매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의약분업이 의약사를 제도적으로 분리했다면 GPP 도입은 의약사를 내용적 분리한다"면서 GPP 도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용익 교수는 22일 숙명여대에서 열린 ‘우수약사실무기준’ 공청회 특별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약제서비스 강화를 통한 의약품 오남용, 약물 부작용 사례를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먼저 “의약분업이 시행된 후 의약품 처방 품목수, 항생제 처방건수 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등 분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 고가약 처방의 증가로 약제비의 비중이 분업 이후 오히려 증가하고 ▲일반의약품 판매에 대한 관리 체계도 미비할 뿐더러 ▲병원약사의 비율이 외국의 1/3수준으로 처방검토와 복약지도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 등 약제서비스에서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다.
이에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에게 제공하는 약제서비스의 표준을 만드는 GPP의 도입은 약제비의 절감, 의료의 질 향상을 넘어 의약분업을 완성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입원환자에게 적용되는 GPP내용에는 조제관리, 의약품 정보관리, 임상약제서비스의 강화 등이 뒤따라야 하며 외래환자에게는 복약지도 실무기준 및 모니터링, 일반의약품 판매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의약분업이 의약사를 제도적으로 분리했다면 GPP 도입은 의약사를 내용적 분리한다"면서 GPP 도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