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관지원 설립 병원 36% 부도·이자 연체

주경준
발행날짜: 2005-04-18 20:01:22
  • 이기우의원, 168개곳중 38곳 연체·23곳 부도

[메디칼타임즈=] 차관지원을 통해 설립된 168개 병원중 36.3%인 61개 병원이 이미 부도가 났거나 이자를 연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기우 의원(열린우리당)은 보건복지위에서 열린 복지부 업무보고에서 차관지원을 통해 설립된 의료기관중 상당수가 연체와 부도를 일으켜 채권금액이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김근태 장관에게 해결대책을 질의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차관병원은 78년과 80년 2차례에 걸쳐 경제장관협의회에서 공단지역과 취약지에 병원 설치 및 투자계획과 민간병원 시설 및 투융자계획이 의결됨에 따라 추진된 국책사업으로 총 173개 기관에 차관이 지원됐으며 이중 의료기관은 168곳이라고 설명했다.

차관이 지원된 168개 병원중 정상상환하고 있는 병원은 107개이며 원리금과 이자를 연체중인 병원은 38개, 이미 부도처리된 병원은 23개로 전체의 36.3%인 61개 병원이 문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부도처리된 병원은 23곳 모두가 민간병원이고 연체병원의 경우도 국공립 3곳을 제외한 35곳이 민간병원이라고 지적했다.

이로인해 상환액 금액도 총 고지금액 4,272억원중 3,237억원만 정상상환되고 미상황 금액은 1,035억원, 미상환에 따른 연체이자만도 568억에 달하는 등 총 채권금액이 1,603억원 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의원은 복지부 보고에 토대로 지원병원의 연체 및 부도 원인은 급등한 환율과 병원경영 여건의 악화로 인한 것으로 대책을 물었다.

이기우 의원은 정부에서 벌인 그동안의 차관지원 병원 관리 대책에 대해 “단편적인 자금 지원이나 이자율 인하 등으로는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어렵다”면서 “우선 문제가 되는 차관병원을 면밀히 분석하여 국가에서 인수하거나, 연체금을 국가가 투자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피요가 있다” 고 주장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의료기관이 아닌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등의 사회복지시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보건복지부의 발상의 전환을 촉구하였다.

병·의원 기사

댓글 3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t시민 2005.09.09 15:36:15

    우리의 갈길은?
    소위 이사회의 지도자급이 갈길은 지옥 밖에
    없다면 노동자들은 어데로 갈것인가?
    그들도 노력 해서 잘살고 전 계층이 잘살때
    우리는 올바른 사회가 아닐까?
    이제 의사가 잘사는 사회가 아니라 너나 나나
    못사는 , 다 죽을수 밖에 없다면
    누가 노력 할것인가.
    우리모두 잘사는사회로 도와 주워야 한다고
    생각 한다.

  • 한국의사 2005.04.19 11:06:38

    서울대병원,일산공단병원까지도 적자나는 헐값의료비로 ..
    견뎌내는 한국병원들은 정말로 기적이다!
    사실 100 % 부도나야하는데 장례식장이나 기타 임대수입으로 견디고 있다니...
    이렇게 싼 헐값의료비를 주면서도 국민들의 요구사항은 선진국수준이라!!

  • 한심이 2005.04.19 09:39:58

    책임져라
    IMF이전에 유치원 및 어린이 집에 자금능력이 부족한 여성들에게 저리로 자금을 지원해 주어 무리하게 어린이 집을 양산하여 부실화를 초래하였고, IMF를 맞이하자 도산나고 심지어 원장이 자살하는 소동이 벌어진 것처럼 병원계에도 똑같은 전철을 밟고 있는 것이다.

    취약지역에 병원을 세우는 것은 필요하다면 국가에서 공공의료기관을 세워야 하는데 시장원리를 무시하고 차관이다, 재특이다, 농특이다하여 특헤를 준것이 오늘의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당시 계획입안자가 책임을 져야한다. 해결방법은 국가에서 부채까지 인수하여 공공의료기관으로 전환하고 공중보건의를 배치하여 저소득 소외계층에 대한 의료시혜를 베풀도록 함이 마땅할 것이다.

    또한 경영층에 대해 성실하게 경영하다가 도산이 난 것인지 딴짓을 하다가 도산낸 것인지 구분하여 성실하게 경영을 했는데 환경변화로 도산이 난 것이면 금융신용불량자에서 해제시키고 채무도 탕감해주어 공공의료기관에 취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재기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