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공동조사반, E의원 사용 주사제 등 확보 못한 것 원인
지난해 초 경기도 이천 E의원에서 발생한 주사 집단 감염 사건과 관련, 당국이 주사제 오염 경로를 밝혀내는데 실패했다.
지난해 6월 중간조사 결과 환자들의 상처부위에서 검출된 '거북결핵균'의 감염원을 찾기 위해 조사를 벌였지만 감염원과 감염 경로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의 의뢰를 받아 민관공동조사반을 이끈 서울대 박병주 교수(예방의학)는 8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전화통화에서 "물, 먼지 등 의원 내부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했지만 어느 시기에 어떤 경로로 주사제가 오염됐는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뒤늦게 조사에 착수한 탓에 당시 E의원에서 사용한 주사제와 생리식염수를 확보하지 못한 것이 문제였다"며 "진료 과정서 균이 오염된 것은 분명하지만 누가 어떻게 오염시켰는지 증거가 불충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사 집단 부작용 사건의 감염원과 감염경로를 찾지 못함에 따라 환자들이 E의원을 상대로 제기한 형사고발과 손해배상 소송 결과도 예측이 어렵게 됐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팀 관계자는 "최종 조사결과는 대형 생리식염수를 여러번 반복해 분말 주사제와 혼합하는 과정서 주사기가 오염돼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 중간조사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고 발견 당시 식약청의 조사에서 해당 주사제가 국제규격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의료기관에서 부작용 발생 보고가 없었던 점 등 미루어 주사제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내주 중 경기도와 이천시에 역학조사결과를 송부하고 피해환자와 일반인이 열람하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한편 E의원 S원장은 사건 발생 후 미국으로 건너가 아직까지 귀국하지 않고 있으며, 변호사를 통해 소송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6월 중간조사 결과 환자들의 상처부위에서 검출된 '거북결핵균'의 감염원을 찾기 위해 조사를 벌였지만 감염원과 감염 경로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의 의뢰를 받아 민관공동조사반을 이끈 서울대 박병주 교수(예방의학)는 8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전화통화에서 "물, 먼지 등 의원 내부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했지만 어느 시기에 어떤 경로로 주사제가 오염됐는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뒤늦게 조사에 착수한 탓에 당시 E의원에서 사용한 주사제와 생리식염수를 확보하지 못한 것이 문제였다"며 "진료 과정서 균이 오염된 것은 분명하지만 누가 어떻게 오염시켰는지 증거가 불충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사 집단 부작용 사건의 감염원과 감염경로를 찾지 못함에 따라 환자들이 E의원을 상대로 제기한 형사고발과 손해배상 소송 결과도 예측이 어렵게 됐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팀 관계자는 "최종 조사결과는 대형 생리식염수를 여러번 반복해 분말 주사제와 혼합하는 과정서 주사기가 오염돼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 중간조사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고 발견 당시 식약청의 조사에서 해당 주사제가 국제규격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의료기관에서 부작용 발생 보고가 없었던 점 등 미루어 주사제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내주 중 경기도와 이천시에 역학조사결과를 송부하고 피해환자와 일반인이 열람하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한편 E의원 S원장은 사건 발생 후 미국으로 건너가 아직까지 귀국하지 않고 있으며, 변호사를 통해 소송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