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김희중·유정준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라 하더라도 골두의 30% 이하이면 수술이 필요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김희중·유정준 교수팀은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 105명을 최소 5년 이상(5~15년, 평균 8년 7개월) 추적 관찰해 얻은 괴사의 자연적인 경과를 최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괴사의 범위가 클수록 증상이 없던 괴사가 증상을 나타내면서 진행하게 될 확률이 높았다.
특히 괴사의 크기가 전체 대퇴골두의 30% 이하일 경우에는 5%만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작은 괴사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함께 거의 대부분의 괴사(94%)는 5년 이내에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희중·유정준 교수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정형외과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the Journal of Bone &Joint Surgery-American volume(미국 정형외과학회지)’ 3월호에 게재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엉덩이관절(고관절)을 이루는 공처럼 생긴 넓적다리뼈의 골두에 피가 통하지 않아 뼈 조직이 죽는 병으로 그 원인이 아직도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병이 계속 진행할 경우 골두가 평평하게 내려앉고 엉덩이관절이 망가져 결국 관절을 인공으로 교체하는 인공관절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초기에는 가능한 한 병의 진행을 막기 위해 인공 관절 수술이 아닌 다른 여러 가지 수술법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아직도 병의 진행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기 위한 임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해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오랜 기간 동안 괴사 환자들을 실제적으로 치료하면서 얻은 임상 결과들을 분석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1982년부터 2005년 사이에 양쪽 대퇴골두가 모두 무혈성 괴사에 걸렸지만 한쪽만 아프고 다른 한쪽은 증상이 없었던 312명의 환자들을 선별한 후 이중 증상이 없던 괴사에 수술을 하지 않고 5년 이상 추적 관찰을 한 105명 환자의 임상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얻은 값진 성과다.
김희중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30% 이하의 크기가 작은 괴사는 수술을 하지 않더라도 진행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 작은 크기의 괴사에도 시행하던 불필요한 수술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김 교수는 “증상이 없는 괴사는 대부분 5년 이내에 진행할지 여부가 결정되므로 괴사 환자들의 추적 관찰에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덧붙였다.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김희중·유정준 교수팀은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 105명을 최소 5년 이상(5~15년, 평균 8년 7개월) 추적 관찰해 얻은 괴사의 자연적인 경과를 최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괴사의 범위가 클수록 증상이 없던 괴사가 증상을 나타내면서 진행하게 될 확률이 높았다.
특히 괴사의 크기가 전체 대퇴골두의 30% 이하일 경우에는 5%만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작은 괴사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함께 거의 대부분의 괴사(94%)는 5년 이내에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희중·유정준 교수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정형외과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the Journal of Bone &Joint Surgery-American volume(미국 정형외과학회지)’ 3월호에 게재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엉덩이관절(고관절)을 이루는 공처럼 생긴 넓적다리뼈의 골두에 피가 통하지 않아 뼈 조직이 죽는 병으로 그 원인이 아직도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병이 계속 진행할 경우 골두가 평평하게 내려앉고 엉덩이관절이 망가져 결국 관절을 인공으로 교체하는 인공관절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초기에는 가능한 한 병의 진행을 막기 위해 인공 관절 수술이 아닌 다른 여러 가지 수술법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아직도 병의 진행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기 위한 임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해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오랜 기간 동안 괴사 환자들을 실제적으로 치료하면서 얻은 임상 결과들을 분석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1982년부터 2005년 사이에 양쪽 대퇴골두가 모두 무혈성 괴사에 걸렸지만 한쪽만 아프고 다른 한쪽은 증상이 없었던 312명의 환자들을 선별한 후 이중 증상이 없던 괴사에 수술을 하지 않고 5년 이상 추적 관찰을 한 105명 환자의 임상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얻은 값진 성과다.
김희중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30% 이하의 크기가 작은 괴사는 수술을 하지 않더라도 진행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 작은 크기의 괴사에도 시행하던 불필요한 수술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김 교수는 “증상이 없는 괴사는 대부분 5년 이내에 진행할지 여부가 결정되므로 괴사 환자들의 추적 관찰에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