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강남성모 산부인과 김진우 교수팀
여성암 발생 1위인 것으로 알려진 유방암의 발병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김진우 교수팀은 29일 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HCCR-2’라는 발암유전자를 쥐의 수정란에 집어넣은 유방암 모델형질전환 실험용 쥐를 개발하여 이를 통해 유방암 발병 메커니즘 규명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HCCR-2 유전자가 동물의 발암 기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HCCR-2를 도입한 형질전환 동물을 생산하여 그 표현형을 분석하고 세포 내 과정에서의 역할을 증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HCCR-2 한가지 유전자만으로 형질전환된 쥐에서 가로, 세로 각 3㎝ 크기의 유방암이 발생되었으며 유방암의 폐 전이도 일어난 것으로 관찰됐다.
이 형질전환 쥐에서는 유방과 뇌 심장 폐 간 위 신장 등 거의 모든 기관에서 암 억제 단백질인 p53이 과다하게 발현됐으며 특히 단백질의 활성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HCCR-2 유전자가 p53 단백질을 부정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암의 발생에 관여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종양학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인 Oncogene(IP:5.97)에 지난 22일 인터넷 판에 발표되었으며 신년 1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특히 연구팀은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공동연구 제의와 함께 미국 실험동물 회사인 잭슨 레버러토리로부터 공급 제의를 받아 유방암 모델 쥐를 제공할 예정이다.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김진우 교수팀은 29일 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HCCR-2’라는 발암유전자를 쥐의 수정란에 집어넣은 유방암 모델형질전환 실험용 쥐를 개발하여 이를 통해 유방암 발병 메커니즘 규명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HCCR-2 유전자가 동물의 발암 기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해 HCCR-2를 도입한 형질전환 동물을 생산하여 그 표현형을 분석하고 세포 내 과정에서의 역할을 증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HCCR-2 한가지 유전자만으로 형질전환된 쥐에서 가로, 세로 각 3㎝ 크기의 유방암이 발생되었으며 유방암의 폐 전이도 일어난 것으로 관찰됐다.
이 형질전환 쥐에서는 유방과 뇌 심장 폐 간 위 신장 등 거의 모든 기관에서 암 억제 단백질인 p53이 과다하게 발현됐으며 특히 단백질의 활성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HCCR-2 유전자가 p53 단백질을 부정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암의 발생에 관여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종양학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인 Oncogene(IP:5.97)에 지난 22일 인터넷 판에 발표되었으며 신년 1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특히 연구팀은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공동연구 제의와 함께 미국 실험동물 회사인 잭슨 레버러토리로부터 공급 제의를 받아 유방암 모델 쥐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