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리베이트 약가연동 첫 적용…2·3차 태풍 초긴장
|초점| 리베이트 적발 제약사 사상 첫 약가 인하
정부는 빼어든 칼을 거두지 않았다. 리베이트 약가 연동제가 시행된 후 처음으로 적발된 7개 제약사들에게 철퇴를 내렸고, 이들의 하소연은 단발마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많게는 수백억원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해진 제약사들은 집단소송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제약계는 혹여 2차, 3차 쓰나미가 이어질까 우려를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제약사 이의 신청 기각…131개 품목 최대 20% 약가 인하
심평원은 21일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열고 의사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적발돼 약가 인하 통보를 받은 7개 제약사가 제출한 이의 신청을 심의했다.
금평위는 심의에서 제약사들의 이의 신청이 모두 타당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오는 8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오는 10월 1일부터 이들 품목에 대한 약가를 인하할 계획이다.
이번에 가격이 인하되는 의약품은 7개 제약사의 131개 품목으로, 철원군 보건소 공중보건의사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해 적발된 6개 제약사의 115개 품목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적발된 종근당의 16개 품목이다.
동아제약의 스티렌정(위장약) 등 11개 품목과 영풍제약의 심바스정(고지혈증치료제) 등 16개 품목 등 4개 제약사의 총 43개 품목은 20%가 인하된다.
또한 한미약품의 아모디핀정(고혈압치료제)과 일동제약의 큐란정(위장약) 등 나머지 88개 품목들도 최소 0.65% 이상 약값이 깎이게 된다.
스티렌 등 블록버스터 다수 포함…소송 이어질 듯
특히 일부 제약사들은 간판 상품의 약값이 큰 폭으로 인하될 예정이어서 충격에 빠져 있다.
우선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제약사는 동아제약이다.
동아제약의 국산 신약 스티렌의 경우 지난해 877억원 어치를 팔아 가장 높은 매출을 올렸지만 이번 조치로 약값의 20%가 인하됐다. 단순 계산으로만 무려 연간 175억원 가량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번에 20% 약가 인하가 결정된 오로디핀의 경우도 지난해 278억원의 처방액을 기록한 약품이라는 점에서 58억원의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
이 두가지 품목만으로도 200억원이 넘는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9개의 약품의 약값도 20%가 인하됐다.
종근당의 딜라트렌 역시 20% 깎인다. 딜라트렌은 지난해 671억원의 매출을 올린 종근당의 간판 상품이다.
하지만 딜라트렌은 6.25ml만 적발돼 그나마 21억원 정도의 손실만 감당하면 된다. 지난해 딜라트렌 6.25ml의 처방액은 103억원 이었다.
한미약품은 연간 처방액이 400억원이 넘는 효자상품 아모디핀을 포함해 무려 61개 품목의 약가가 인하된다.
그러나 가격 인하율이 1.82%에 불과해 실제 매출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각 제약사의 간판 품목들의 약가가 줄줄히 인하되면서 해당 제약사들은 사실상 패닉 상태에 빠져있다.
특히 리베이트 규모에 비해 약가 인하폭이 너무 크다며 이의 신청을 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반발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제약사들은 약가 인하 처분 취소 소송 등 법률적 대응을 준비중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대규모의 조직적 리베이트도 아닌 지역 영업사원 차원에서 제공한 리베이트에 대해 이 정도 페널티를 가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며 "약가 인하 조치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든 법률적인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범 정부적 리베이트 조사 진행중…2차, 3차 쓰나미 예고
문제는 이번 조치가 끝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복지부부터 공정위, 식약청과 검찰까지 범 정부적 리베이트 단속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2·3차 쓰나미가 몰려올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지난해에만 거제도, 대전, 철원에서 공중보건의사 리베이트 수수 사건이 이어졌다. 또한 올해 초부터 울산 경찰은 의사 1천명을 대상으로 리베이트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리베이트 합동 조사반은 물론, 공정거래위원회 등은 한달이 멀다하고 제약사와 도매상을 급습하며 리베이트 적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이번에 약가가 인하된 제약사가 향후 2년안에 해당 의약품과 관련한 리베이트에 연루되면 인하율이 100%로 가중 처벌된다는 점에서 만약 한번 더 적발된다면 그 타격은 감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사실상 약가가 리베이트 적발 전과 비교해 절반 정도로 깎여 버리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정부가 기등재약 약값 재산정을 비롯, 특허 만료 의약품 가격 조정 등 리베이트 약가 연동제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약가 인하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약사들의 우려는 점점 더 커져만 가고 있다.
B제약사 관계자는 "아무리 시범케이스라고 하지만 신약 약가를 20%씩 처낸다는 것은 인정사정 봐주지 않는다는 뜻 아니겠냐"며 "하루 빨리 태풍이 지나가기만을 바라고 있다"고 털어놨다.
정부는 빼어든 칼을 거두지 않았다. 리베이트 약가 연동제가 시행된 후 처음으로 적발된 7개 제약사들에게 철퇴를 내렸고, 이들의 하소연은 단발마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많게는 수백억원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해진 제약사들은 집단소송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제약계는 혹여 2차, 3차 쓰나미가 이어질까 우려를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제약사 이의 신청 기각…131개 품목 최대 20% 약가 인하
심평원은 21일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열고 의사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적발돼 약가 인하 통보를 받은 7개 제약사가 제출한 이의 신청을 심의했다.
금평위는 심의에서 제약사들의 이의 신청이 모두 타당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오는 8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오는 10월 1일부터 이들 품목에 대한 약가를 인하할 계획이다.
이번에 가격이 인하되는 의약품은 7개 제약사의 131개 품목으로, 철원군 보건소 공중보건의사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해 적발된 6개 제약사의 115개 품목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적발된 종근당의 16개 품목이다.
동아제약의 스티렌정(위장약) 등 11개 품목과 영풍제약의 심바스정(고지혈증치료제) 등 16개 품목 등 4개 제약사의 총 43개 품목은 20%가 인하된다.
또한 한미약품의 아모디핀정(고혈압치료제)과 일동제약의 큐란정(위장약) 등 나머지 88개 품목들도 최소 0.65% 이상 약값이 깎이게 된다.
스티렌 등 블록버스터 다수 포함…소송 이어질 듯
특히 일부 제약사들은 간판 상품의 약값이 큰 폭으로 인하될 예정이어서 충격에 빠져 있다.
우선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제약사는 동아제약이다.
동아제약의 국산 신약 스티렌의 경우 지난해 877억원 어치를 팔아 가장 높은 매출을 올렸지만 이번 조치로 약값의 20%가 인하됐다. 단순 계산으로만 무려 연간 175억원 가량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번에 20% 약가 인하가 결정된 오로디핀의 경우도 지난해 278억원의 처방액을 기록한 약품이라는 점에서 58억원의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
이 두가지 품목만으로도 200억원이 넘는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9개의 약품의 약값도 20%가 인하됐다.
종근당의 딜라트렌 역시 20% 깎인다. 딜라트렌은 지난해 671억원의 매출을 올린 종근당의 간판 상품이다.
하지만 딜라트렌은 6.25ml만 적발돼 그나마 21억원 정도의 손실만 감당하면 된다. 지난해 딜라트렌 6.25ml의 처방액은 103억원 이었다.
한미약품은 연간 처방액이 400억원이 넘는 효자상품 아모디핀을 포함해 무려 61개 품목의 약가가 인하된다.
그러나 가격 인하율이 1.82%에 불과해 실제 매출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각 제약사의 간판 품목들의 약가가 줄줄히 인하되면서 해당 제약사들은 사실상 패닉 상태에 빠져있다.
특히 리베이트 규모에 비해 약가 인하폭이 너무 크다며 이의 신청을 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반발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제약사들은 약가 인하 처분 취소 소송 등 법률적 대응을 준비중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대규모의 조직적 리베이트도 아닌 지역 영업사원 차원에서 제공한 리베이트에 대해 이 정도 페널티를 가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며 "약가 인하 조치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든 법률적인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범 정부적 리베이트 조사 진행중…2차, 3차 쓰나미 예고
문제는 이번 조치가 끝이 아니라는 점에 있다. 복지부부터 공정위, 식약청과 검찰까지 범 정부적 리베이트 단속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2·3차 쓰나미가 몰려올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지난해에만 거제도, 대전, 철원에서 공중보건의사 리베이트 수수 사건이 이어졌다. 또한 올해 초부터 울산 경찰은 의사 1천명을 대상으로 리베이트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리베이트 합동 조사반은 물론, 공정거래위원회 등은 한달이 멀다하고 제약사와 도매상을 급습하며 리베이트 적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이번에 약가가 인하된 제약사가 향후 2년안에 해당 의약품과 관련한 리베이트에 연루되면 인하율이 100%로 가중 처벌된다는 점에서 만약 한번 더 적발된다면 그 타격은 감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사실상 약가가 리베이트 적발 전과 비교해 절반 정도로 깎여 버리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정부가 기등재약 약값 재산정을 비롯, 특허 만료 의약품 가격 조정 등 리베이트 약가 연동제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약가 인하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약사들의 우려는 점점 더 커져만 가고 있다.
B제약사 관계자는 "아무리 시범케이스라고 하지만 신약 약가를 20%씩 처낸다는 것은 인정사정 봐주지 않는다는 뜻 아니겠냐"며 "하루 빨리 태풍이 지나가기만을 바라고 있다"고 털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