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용 용법용량 의약품 15% 불과…조제 실수시 사고 직결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석용 의원(한나라당)은 "지난해 12월 한 달동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청구된 조제건수 중 1회 투약량이 허가제형 용량보다 적은 처방 건수를 취합한 결과, 상위 100대 약품에서 1천9백만2천여건의 쪼개기 처방이 적발됐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12월 한 달간 청구된 처방건수여서 연간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성인용 의약품을 쪼개서 중증소아 환자에게 처방할 경우 임상적으로 제대로 된 시험결과가 없고, 일부 약물의 경우 자칫 분절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아환자의 몸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한약사회가 분류한 분절조제 요주의 약품의 2010년 12월 청구건수는 129만4천건에 달했다. 과다 투여시 심정지를 일으키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삼아아토크정과 같은 약품도 포함돼 있었다.
이런 분절조제 행태는 소야용 의약품 부족이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식약청에 따르면 지난 90년 이후 현재까지 허가된 신약 668품목 중 소아 용법용량을 포함하고 있는 품목은 총 106품목으로 전체 대비 15.8%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윤 의원은 "첨단 의료시대 걸맞게 어린이용 의약품이 없어 성인용 의약품을 쪼개서 먹는 근대적인 투약형태는 개선돼야 한다"며 "어린이용 약품개발을 위해 제약업계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