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급성호흡부전 환자 10명 중 3명 살릴 수 있다"
동탄성심병원은 급성 또는 중증 호흡곤란환자의 적극적 치료를 위해 심장내과, 흉부외과, 호흡기내과 등의 전문의료진이 모여 심장과 폐 기능 보조장치인 '체외막산소화장치(ECMO, 에크모)' 전담팀을 꾸린다고 22일 밝혔다.
혈관촬영실 기사, 간호사, 체외순환사, 전공의 등도 30분 이내에 병원으로 모여 시술현장에 동참한다.

체외막산소화장치(ECMO)
최근 동탄성심병원 응급실에는 평소 고혈압이 있던 50대 남성이 회사 앞의 눈을 쓸다가 갑자기 쓰러져 실려왔다.
뇌출혈 치료를 받던 중 4일째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했다. 폐기능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호흡이 멈춘 상태나 마찬가지였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원인에 따라 예후가 다르지만 사망률이 22~41%에 이르는 질환이다. 체내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두면 저산소증으로 장기손상이 불가피하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호흡기센터팀은 이 환자에게 에크모 치료를 시행했다. 치료 2시간 후 환자의 산소수치와 혈압은 안정되기 시작했고, 6일째에는 ECMO를 제거할 수 있었다.
2주째부터는 인공호흡기도 제거하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
호흡기센터 김철홍 교수는 "ECMO를 활용하면서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는 99% 사망할 수밖에 없는 심장마비, 급성호흡기능부전 환자 중 20~40%는 살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역병원이나 응급구조대와의 협력체계가 잘 구축돼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ECMO 전담팀이 대기하고 있으면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ECMO 전담팀을 운영하게 되면 심장정지나 급성호흡부전 등 긴박한 상황에 빠진 환자 10명 중 3명을 생존시키게 된다"고 강조했다.
혈관촬영실 기사, 간호사, 체외순환사, 전공의 등도 30분 이내에 병원으로 모여 시술현장에 동참한다.

뇌출혈 치료를 받던 중 4일째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했다. 폐기능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호흡이 멈춘 상태나 마찬가지였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원인에 따라 예후가 다르지만 사망률이 22~41%에 이르는 질환이다. 체내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두면 저산소증으로 장기손상이 불가피하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호흡기센터팀은 이 환자에게 에크모 치료를 시행했다. 치료 2시간 후 환자의 산소수치와 혈압은 안정되기 시작했고, 6일째에는 ECMO를 제거할 수 있었다.
2주째부터는 인공호흡기도 제거하고 일상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
호흡기센터 김철홍 교수는 "ECMO를 활용하면서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는 99% 사망할 수밖에 없는 심장마비, 급성호흡기능부전 환자 중 20~40%는 살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역병원이나 응급구조대와의 협력체계가 잘 구축돼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ECMO 전담팀이 대기하고 있으면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ECMO 전담팀을 운영하게 되면 심장정지나 급성호흡부전 등 긴박한 상황에 빠진 환자 10명 중 3명을 생존시키게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