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아·오동욱 부사장 사업부문 대표로 선임

주요 사업부문은 '혁신제약사업부문(Global Innovative Pharma, GIP)', '이스태블리쉬트제약사업부문(Global Established Pharma, GEP)', '백신·항암제·컨슈머사업부문(Global Vaccines, Oncology and Consumer, VOC)'으로 나뉜다.
2일 회사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한국화이자제약을 이끌어 온 이동수 대표이사 사장은 그간의 성과와 리더십을 인정받아 대표직을 연임한다.
이 대표는 한국은 물론 대만시장의 '혁신제약사업부문'도 함께 총괄한다.
김선아 부사장은 '이스태블리쉬트제약사업부문' 한국 대표, 오동욱 부사장은 '백신사업부문'의 한국 등 아시아 클러스터 대표로 선임됐다.
송찬우 상무는 '항암제사업부문' 아시아 클러스터 대표를, 유광열 대표가 컨슈머헬스케어 국내 사업부문을 총괄한다.
이동수 대표이사 사장은 "한국 등 주요 아시아 신흥성장 지역을 한국인 임원들이 이끌게 된 것은 한국화이자제약의 성공적인 결실이자 개인과 회사 모두에게 매우 영광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했다.

이스태블리쉬트제약사업부문은 리피토, 노바스크, 쎄레브렉스, 비아그라 등 특허가 만료됐거나 주요 시장에서 2015년 말까지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을 다룬다.
백신·항암제·컨슈머헬스케어사업부문은 백신과 항암제 및 컨슈머 헬스케어 각 사업 부서를 포함한다. 프리베나 13, 잴코리, 수텐, 애드빌, 센트룸 등이 해당된다.